당도 전환 ‘공감’ 제한적 출하는 ‘우려’

도농업인단체 감귤 상품 품질 기준 개선 토론회
크기보다 맛 승부···비파괴 선과기 확충이 전제

2016-07-17     김동은 기자

제주지역 감귤 농가들이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제주도의 품질 기준 전환에 공감하면서도 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통한 제한적 출하와 시설적인 부분 미비에 따른 피해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제주도 농업인단체협의회는 지난 15일 서귀포시 국립종자원 제주지원 대강당에서 제주도, 제주감귤농협, 농가, 중개도매인, 영농조합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감귤 상품 품질 기준 개선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제주도가 감귤 상품 품질 기준을 기존 ‘크기’에 ‘당도’를 병행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에 앞서 농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였다. 앞서 지난 1일과 5일 서귀포시와 제주시에서 각각 열린 농가 의견 수렴 토론회에서는 찬반이 팽팽하게 맞서 합의점 도출에 실패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윤창완 제주도 감귤특작과장은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감귤 조례와 관련해 “현재 49mm~70mm의 크기로 제한된 감귤 상품 출하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면서도 “비상품인 49mm 미만 소과와 70mm 초과 대과도 당도를 기준으로 출하할 필요가 있다”며 역설했다.

윤 과장은 이어 “이는 고당도 감귤 등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농가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농가들은 감귤 조례 개정 취지에 대체적으로 동의하면서도 당도 측정을 위해 비파괴(광센서) 선과기를 갖춘 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김윤천 전국농민회제주도연맹 감귤분과위원장은 “제주 감귤의 살 길은 결국 ‘맛’이라는 데 동의한다”면서도 “비상품 당도 측정을 거점산지유통센터(APC)로 제한하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피력했다.

김 위원장은 “개별적인 작목반에서도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자율적으로 측정한 비상품 당도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면 허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비상품 출하에 따른 물량 급으로 감귤 공급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며 “당도를 기준으로 한 비상품 출하를 위해서는 비파괴(광센서) 선과기 확충이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귀포시 효돈동에서 감귤 농사를 짓는 허봉익씨는 “각 단위 농협에서 산지유통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해 제 시기에 감귤을 출하한 농가는 거의 없다”며 “그러나 행정은 APC를 중심으로 한 출하만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제주시 조천읍에서 감귤을 재배하고 있는 양보삼씨는 “소비자들은 작은 감귤을 선호하는 만큼 당도를 기준으로 비상품인 소과를 출하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며, 현재의 시설로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태호 서울청과 차장은 “도매시장에서 감귤 경매를 하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이 바로 감귤 품질을 크기로만 구분한다는 것”이라며 “고품질 감귤로 차별화를 두려면 이제는 크기가 아닌 맛으로 승부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