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 타령만 해서 제주신항 되겠나

2016-07-10     제주매일

지난 7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해양수산부의 ‘제주신항만 건설기본계획 수립 및 예정지역 지정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설명회’ 분위기는 한마디로 ‘생뚱맞다’였다. 사업 예정지 인근 주민들이 듣고 싶어 하는 보상계획이나 배후지역 활성화 방안은 없이 제주신항 사업 당위성만 역설했기 때문이다.

이날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발표에 나선 관계자는 “현재 제주외에 크루즈부두는 8만t 이하만 접안할 수 있어 대형크루즈들이 제주에 오지 못해 부산항으로 가고 있다”며 “특히 크루즈 입항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선석 부족으로 유치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탑동 방파제는 태풍으로 인한 월파 피해가 반복되면서 매년 막대한 복구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며, 어항은 노후화된 데다 내항은 화물과 여객이 혼재돼 있다”며 제주항 항만기능 재배치 등 신항만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주민들의 불만이 빗발쳤다. 한 주민은 “탑동 신항만 개발이 원론적으로 누구를, 무엇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오늘 발표 내용도 급증하는 크루즈 관광객 대비책 외에 제주도 항만을 개발하면서 주민들을 위한 배후지에 대한 계획이 전혀 없다”며 “전략환경영향평가는 자연적 환경에 대해서만 있고 사회적 환경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꼬집었다. 다른 주민들도 “크루즈 주변 상업시설로 인한 해녀 생계나 기존 상권 피해를 간과하고 있다” “어민 보상 관계는 당연히 들어가야 한다”는 등의 불만을 토로했다.

물론 이날 설명회는 제주신항 건설기본계획 등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해양수산부는 보상계획 등은 전략환경영향평가 통과 후 어업피해조사 등을 통해 수립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러나 이는 사업 추진 행정절차만을 고려한 무책임한 발상이다. 삶의 터전을 빼앗길지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건설기본계획 운운해봐야 좋게 들릴 리 없다. 사업 신뢰성만 떨어진다. 해양수산부와 제주도는 서둘러 제주신항 보상계획과 배후지역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