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건설골재 수급 공영개발로 푼다
제주지역의 건설 골재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영(公營)개발 방식이 도입된다. 제주도는 지난주 이 같은 방침을 발표하고 공기업인 제주개발공사가 직접 골재 채취와 공급에 나선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앞으로 제주개발공사는 채취장 선정과 인·허가, 원석 생산 및 가공 등 골재(骨材) 생산과 공급의 모든 과정을 담당한다. 또 민간업체도 일정 부분 위탁생산(OEM) 방식으로 참여하게 된다. 다만 골재의 공급은 개발공사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이 같은 도의 방침은 골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골재(자갈)는 아스콘 포장 시 밑바닥에 깔거나 시멘트 모래 등과 함께 레미콘 생산에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택 및 숙박시설, 대규모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골재 수요가 폭증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골재 채취 허가량 중 남아있는 잔량(殘量)은 지난해 말 기준 598만3000㎥에 불과하다. 올해 제주도가 예상하는 수요량 378만㎥를 빼고 나면 연말에는 220만3000㎥ 밖에 남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도내 건설경기와 개발사업 등을 고려할 때 빠르면 내년, 늦어도 2019년부터는 골재 공급량이 수요(需要)에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가 원활한 골재 수급을 위해 지방공기업을 운영 주체로 한 공영개발을 추진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7억원을 투입 한국수자원공사를 통해 오는 12월까지 도내 골재 자원조사를 벌이고, 개발공사는 이 기간 동안 사업추진 방향을 설정키로 했다. 이어 골재 채취 공영화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거쳐 내년 하반기쯤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제주개발공사가 건설 골재 전반을 관리하면 공급 물량에 대한 수급조절이 가능하고, 공급가격도 안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가 없는 것도 아니다.
우선 밥그릇을 뺏기게 된 기존 골재채취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골재에 대한 전문성(專門性)이 없는 개발공사가 효율적으로 이를 관리·운영해 나갈지도 의문이다. 건설 골재와 관련한 공영개발이 앞으로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