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인권교육 체계적 진행 필요하다”

李 교육감 시민단체 간담회
참석자 공감 이구동성 요구

2016-06-09     문정임 기자
이석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과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만난 자리에서 현재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학교 인권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9일 청소년문화까페 생NE행(제주시 칠성로)에서 도교육청 주최로 열린 교육감과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간담회에서 단체 관계자들은 청소년들이 받고 있는 여러 형태의 계기 및 특별 교육들을 하나의 ‘인권’ 교육으로 통합 운영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모았다. 또, 인권교육을 전문적으로 진행할 구심체가 있어야 한다는데 에도 한 뜻을 나타냈다.

제주YMCA 김태성 총장은 “제주4·3인권교육이 이 교육감 취임 이후 강화되고 있지만 통일교육은 부진하다”며 “4·3과 통일, 인권이 사실은 ‘인권’교육으로 묶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경선 제주여민회 공동대표는 “성교육이나 성 평등 개념도 인권교육의 일환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학교에서 이뤄지는 여러 인권 관련 교육들이 따로 진행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좌광일 사무처장과 제주참여환경연대 강사윤 대표 등 여러 참석자들은 “4·3과 통일, 장애, 성, 합리적 민주시민의식 등 현재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교육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구심체를 통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학교현장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석문 교육감은 “4·3교육은 활성화되고 있는데 폭넓은 인권교육은 아직 미진하다”며 “노력하고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더불어 이날 현장에서는 교육의 시기에 대한 조언도 나왔다. 이경선 대표는 "아이들이 10대 중반을 넘어서면 사회적인 고정관념이 생긴다"며 "관념에 관한 교육은 어릴 때 집중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는 교육감과 도내 대표 시민사회단체간 첫 만남인 만큼 당초 30분간 가볍게 진행될 예정이었나 인권교육 활성화, 학교 비정규직 처우개선 문제 등에 활발한 토론이 오가며 1시간이 넘도록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