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제 우려되는 ‘대중교통체계 개편’
2016-06-01 제주매일
“현재보다 통행시간과 운영경비를 10% 줄이고, 운행횟수 10% 증대 및 배차간격 10% 단축이 목표다.” 최근 도청에서 열린 ‘제주 대중교통체계 개편 실행용역 제2차 중간보고회’의 골자(骨子)다.
이 용역에 따르면 현행 723개 노선을 총 86개로 조정키로 했다. 또 버스 전용(專用) 차로는 내년 7월부터 우선 동서광로와 중앙로 일부 구간에 도입하고, 전 지역 시내버스화 및 시내버스요금제로 단일화 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투입되는 전체 비용은 800억~1000억원대로 추산되는 바, 오는 10월이면 연차계획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영버스는 공기업(公企業) 전환을 검토 중이며, 마을버스 운영은 위탁 또는 공기업 직영 등 지역에 맞는 방향으로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중간 보고회에선 버스 전용차로에 대한 우려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제주경찰청 교통계장은 “대중교통 전용차로의 경우 필요성은 제시가 됐지만 안전 문제에 대한 고려는 없는 것 같다”며 “현재 갓길 버스전용차로 보다 중앙 버스전용차로에서 사망률(死亡率)이 9배나 높게 나오고 있다”고 큰 우려를 포명했다.
또 일도1동 주민자치위원이 “버스 전용차로가 중앙로에 도입되면 자칫 차량 진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는가 하면, 공항과 병원 관련 직행노선 신설 요구 등도 쏟아져 나왔다. 용역진과 제주자치도가 귀담아 들어야 할 내용들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