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갈등해소 ‘소통방식’ 문제없나
제주 제2공항 예정지로 결정된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주민들이 뿔났다. 제2공항 갈등이 ‘지역이기주의’에서 비롯됐다는 일부의 시각 때문이다. 지난 13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정책자문위원회 회의가 발단이 됐다. 이날 강의에 나선 모 교수가 제2공항 갈등을 놓고 ‘님비현상’이라는 발언을 했다는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다. 이에 온평리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제2공항 반대 온평리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0일 제주도청을 항의 방문, 원희룡 도지사와 만나 이 문제를 따졌다. 원 지사는 이날 “제2공항 반대를 님비현상이라고 언급한 것은 도정의 입장이 아니고 한 학자의 발언”이라고 해명했고, 온평리 주민들은 일단 수긍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주도정은 이번 사건을 단순히 오해에서 비롯된 해프닝으로 봐서는 안 된다. 근본적으로는 소통 미흡에 따른 주민 불신의 표출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번 방문은 도지사의 얼굴을 보러온 이유도 있다. 제2공항 예정지 발표 후 마을회관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원 지사는 일주일에 2~3번이라도 온평리에 오겠다고 했으나 지금까지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오죽했으면 온평리 주민들이 이런 말을 하겠는가.
제2공항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선 주변 마을 주민 설득이 관건이다. 공항 건설로 인해 정든 고향을 떠나야 하고, 항공기 소음 등으로 생존권을 위협받을 처지에 놓인 주민들이다. 이들 주민의 마음을 사기 위해선 보통 정성으론 안 된다. 제주도는 주민과의 소통을 위해 성산읍에 제2공항 특별지원사무소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호응을 하지 않아 별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주민들은 “책임을 질 수 사람과 얘기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판국에 ‘님비현상’이라는 발언은 제2공항 추진에 재를 뿌리는 행위나 마찬가지다. 도정은 이번 사태를 해당 주민과의 소통 방식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특히 자문위원회 등 제2공항과 관련한 위원 인선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