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시사태’ 두 교육청, 같은듯 다른시각
서울시교육청 “ 화학제품 사용 유의”긴급공문
도교육청 “금지품 외 안전”유언비어 주의 당부
가습기 살균제로 수십 명이 사망한 이른바 ‘옥시 사태’로 화학제품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 아이들의 안전문제에 대응하는 두 교육청의 시각이 대비돼 관심을 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17일 관내 모든 학교에 “각 학교가 급식시설, 소독, 방제·방역, 수영장 등에 사용하는 세척·살균·소독제품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적정 사용기준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내용의 긴급 공문을 발송했다.
서울교육청은 당시 공문에서 “학내 위해성 물질 등에 학생들이 노출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위생안전관리대책’을 긴급히 마련했다”고 밝히며, 안전한 제품에 대해서도 용법과 용량을 지켜 사용하고 되도록 친환경제품을 이용하도록 권장했다.
서울교육청 학교보건과 관계자는 19일 본 지와의 통화에서 “자체 조사결과 옥시 제품을 쓰는 학교는 극히 일부에 불과했지만 이번 기회에 화학제품 자체에 대해 다시 한 번 점검해보자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다음 주 발송할 관련 공문에서, 식약처가 위험하다고 판단한 제품에 대해서만 위험성을 고지하고 그 외 제품에 대해서는 안전성을 강조하기로 결정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공문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화학제품에 대한 불안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라며 식약처에서 문제로 지목한 화학물질과 제품명을 기재하고, 명단에 없는 제품에 대해서는 안전을 강조, 시중에 떠도는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않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가 공산품으로 분류돼 안전검사를 받지 않고도 시중에 판매됐고, 회사가 위험성을 감추기 위해 연구자에 로비한 정황이 드러나는 등 화학제품의 안전성 검사 시스템 전반에 시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굳이 도교육청이 화학제품의 안전성까지 강조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학교에서는 유해물질을 쓰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학교에서 소비되는 화학제품들을 조사 해본 적은 없다“고 말해 빈축을 사고 있다.
도내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이번 옥시사태는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나라의 검수 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제2, 제3의 위험한 물질이 팔릴 수 있는 만큼 (서울시교육청의 사례와 같이)화학물질 자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