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사’ 행원인 저한 점검 필요 

2016-05-16     제주매일

제주종합경기장 일대에서 7일 간 열릴 예정이던 ‘케이팝 엑스포(K-POP EXPO)’ 행사가 파행을 빚고 있다. 지난 13일 개막 공연을 끝으로 행사가 취소된 것이다. 국내 정상급 아이돌 그룹 등의 출연으로 제주가 한류관광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던 주최 측의 화려한 약속은 온데 간데 없고 추문만 남았다.

공연 취소는 행사장에서의 음식점 운영 문제 때문이다. 행사를 주최한 YT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제주시가 행사 당일 일방적으로 행사장 시설 및 행사 전반에 대한 허가 취소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제주시의 일방적인 ‘음식점 천막 철거 조치’로 나머지 공연 일정을 취소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시의 입장은 다르다. “공연 허가조건에 체육시설 내 취사 및 음주행위 금지를 명시했고, 영업행위 목적의 천막은 철거하기로 공연 전날 양측이 합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허가 취소 통보도 한 바 없고, 기획자 측이 자체 판단으로 공연을 취소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취소 원인을 놓고 ‘진실게임’ 양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행사 파행의 조짐이 일찍 보였다는 점이다. 14일 오전 무대장비 업체가 비용 문제를 이유로 한라체육관 무대를 철거하는 등 잡음이 이어졌다. 또 개막 공연에는 5000석 좌석에 400석 정도만 찬 것으로 알려졌다. 음식점 천막 운영문제는 표면적인 이유고 흥행 실패가 행사 취소의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측이 서명한 ‘음식점 천막 철거 합의’ 확인서가 있다”는 제주시의 주장까지 감안하면 이 같은 분석이 설득력이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시도 잘 한 것만은 아니다. 이번 공연 허가에 앞서 기획사의 공연·재정능력 평가를 도외시한 것은 실수다. 이로 인해 실력이 안 되는 업체가 케이팝 공연을 추진하다 국제적 망신을 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그러자면 행사 허가 단계부터 취소까지 사업 전반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