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공익단체 사무실 3곳 잇따라 털려

중국인 여성 피살 수사로 ‘치안 공백’
수법 등 동일범 소행 추정 수사 확대

2016-05-16     김동은 기자

서귀포시 지역의 공익성을 띤 단체 사무실 3곳에서 하룻밤 사이에 동일범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절도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지역 치안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민생 치안을 담당해야 할 서귀포경찰서 형사팀이 중국인 여성 피살 사건 수사전담반에 대거 투입돼 치안 공백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5일 서귀포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2일 오후 10시15분께 서귀포시 모 장애인 단체 사무실에 누군가 출입문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침입해 현금 30만원을 훔쳐 달아났다.

또 이날 서귀포시 모 여성 운동 단체 사무실에 누군가 잠겨 있지 않은 출입문을 열고 들어가 현금과 통장 등 25만원 상당을 훔쳤다.

이어 서귀포시내 모 회관에도 절도범이 침입해 현금 8만원을 훔치는 등 하룻밤 사이 공익적 단체 사무실 3곳에서 절도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범행 수법 등으로 미뤄 동일범의 소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귀포경찰서 형사 1~5팀 전원이 중국인 여성 피살 사건 수사전담반에 투입되면서 이 같은 치안 공백이 발생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수사전담반은 사건의 관할 경찰서인 서귀포경찰서 30명을 비롯해 제주동·서부경찰서와 제주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 15명 등 모두 45명으로 구성됐다.

경찰이 형사 인력 부족으로 발생하는 치안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서귀포시 지역에 제주지방경찰청 다목적 광역기동순찰대를 투입했지만 야간 시간대에만 활동하는 데다 수사는 담당하지 않는 등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와 관련, “중국인 여성 피살 사건의 피의자가 체포됐지만 그동안 경찰 역량이 이 사건에만 과도하게 치중됐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한정돼 있는 경찰력을 특정 사안에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 인력 운용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