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쓰레기 대책 ‘입도세’ 공론화 필요
지난 주말 제주도가 많은 관광객들로 붐볐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황금연휴를 맞아 4~7일까지 제주를 찾은 방문객은 18만6000여명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관광객 14만7000여명에 비해 26.5% 증가했다. 평소보다 많은 관광객들로 숙박시설과 음식점 등 지역경제가 연휴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제주 관광객 증가가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지만 도내 관광산업의 양적 성장이 이번에도 확인됐다.
그러나 명(明)이 있으면 암(暗)이 있는 법이다. 관광객 증가로 인한 골칫덩이 중 하나는 쓰레기 문제다. 지난 7일 본지 기자가 중문색달해변을 취재한 결과 이곳은 쓰레기로 얼룩져 있었다. 모래사장 곳곳에 일회용 커피컵과 과자 봉지, 페트병 등이 널려져 있었고, 인근의 정자와 벤치 주변에도 맥주 캔과 안주 쓰레기 등이 널브러져 있었다. ‘제주 관광 이미지’를 흐리게 하는 장면들이다.
올레길을 비롯한 제주 관광지 쓰레기 문제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오래전부터 제기됐지만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당국이 이에 손을 놓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이제는 근본적인 대책을 진지하게 고민할 때가 됐다. 이와 관련해 도민 일각에서는 ‘입도세’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4·13총선 당시 녹색당 제주도당 창당준비위원회는 “관광객들에게 약소하더라도 입도세를 걷고, 쓰레기 처리에 일부 사용하거나 환경개선 비용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일부 예비후보는 입도세 도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제주도도 제주 방문객에게 환경기여금을 부과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했었다. 환경기여금은 제주 세계환경수도 조성을 위한 재원 마련의 일환이지만 입도세와 같은 성격이다. 관광객 감소 등 부작용을 걱정해 실제 추진에는 주저하는 모습이다.
제주 관광객 증가세를 감안하면 쓰레기 문제는 갈수록 심각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국은 관광객 양적 팽창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도민들 삶의 질도 생각해야 한다. 쓰레기 문제 해결 방안으로 입도세 논의를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