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 요금 현실화 용역 현실성부족”
어제 ‘적정 요금’ 연구 설명회
업계 관계자들 “적용 어렵다”
道 “제시된 의견은 추후 반영
속보=제주특별자치도가 공영 관광지 만년 적자를 해소하기 위 해 진행한 요금 현실화 연구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본지 27 일자 4면)이 또다시 제기됐다.
제주도는 28일 제주발전연구 원 대회의실에서 도내 사설 관광 지·여행사·관광업계 종사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특별자치도 공영관광지 적정 요 금 산정 연구’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서 제시된 적정 요금은 자연·문화적 가치는 고려되지 않고 관광지 시설 등 운영 원가만 반영된 요금이어서 현실 적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김두흥 제주관광협회 부회장은 “요금 산정 안은 관광객 수가 동률 대비 원가분석으로 수요가 많으면 원가가 내려가고, 수요가 적으면 올라가는 등의 구조이며, 모든 관광지와 시설에 대해 (기준을) 같이 대입해 시설의 작품성, 관광지 이용성과 편리성 등에 대한 방향성이 없다”며 “또 이런 입장료를 산정할 때는 내·외국인, 도민 등으로 구분해 입장료가 산정돼야 하는데 그런 고려가 없다”고 지적했다.
서귀포 감귤박물관 관계자는 “현재 감귤박물관 입장료는 1500원으로 3000만 원 정도의 수익을 내고 있다. 산정 안에 따라 입장료가 5000원으로 오르면 수치상으로 수익은 1억 원 수준이 나와야 하지만 대신 그만큼 관람객이 줄지 않겠냐”며 “도에서는 이런 위험성 분석이나 대책에 대한 고민과 분석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용역이 모든 부분을 다 수용할 수는 없다. 이번 용역은 원가를 산정해 서 적정 요금이 얼마인지에 대해 중점을 맞춘 것”이라며 “자연, 문화적 가치를 어떻게 계량화해서 원가로 계산하고 판단할지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자리에서 나온 다양한 이야기들은 추후 정책 판단 시 고려하고 반영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공영관광지 입장료 현실화 추진계획을 5~6월 수립하고 내년 12월까지 관련 14개 조례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