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관광지 요금 현실화 ‘주먹구구’ 논란

제발연 28일 용역 설명회 개최
적정원가보상율 천차만별에
기존 요금보다 10배 인상도

2016-04-26     오세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공영관광지의 적자해소를 위해 공영관광지 입장료 현실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 산정한 입장료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26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4374만원을 투입, 제주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제주도 공영관광지 적정 입장료 산정 연구’를 실시 완료하고, 오는 28일 제주발전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관광관계자 및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설명회를 갖는다.

연구는 적정원가보상율이 천자 만별일 뿐 아니라, 많게는 기존 요금에서 10배 이상 인상되는 입장료를 제시해 논란이 예상된다.

실제 내용을 보면 국제평화센터와 삼양동선사유적지 등은 적정원가보상율을 10%만 적용한 반면, 제주돌문화공원은 50%, 만장굴과 비자림 등은 60%를 적용했다. 제주도립미술관과 제주별빛누리공원 등은 90%를 적용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제주별빛누리공원은 어른기준 현행 5000원에서 1만9784원으로, 도립미술관은 기존 1000원에서 20배 정도 오른 1만9998원을 제안했다. 주상절리대와 산방산·용머리해안은 적정원가율 60%를 적용하면서도 지금보다 100~200원대의 인하를 제시했다.

이 때문에 28일 개최 예정된 ‘공영관광지 요금 현실화 조사 용역 설명회’에서 이 같은 내용들이 문제로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설명회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고 갈지는 우리도 모른다”며 “용역 결과와 주민의견 수렴, 부서의견 수합 등을 거쳐 최종안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공영관광지 입장료 현실화 추진계획을 5~6월 수립하고 내년 12월까지 관련 14개 조례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