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박물관 4·3왜곡, 적극 대응 하겠다”
유족회 "집필 수정 추진"
속보=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발간한 청소년용 교육 자료에 제주4·3이 ‘무장대에 의한 반란’으로 오인되도록 기술됐다는 보도(5일자 4면)에 대해 제주4·3희생자유족회가 5일 본 지에 자료 공유를 요청해왔다.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문제가 된 자료를 검토하고 필요시 (수정을 요구하는 등의)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국립 근현대사 박물관인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2015년 발간한 청소년 교육용 자료 ‘6·25전쟁’(만화)에서 제주4·3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무장반란’으로 정의하는 듯 기술해 논란이 됐다. 또, ‘1945년 5월이 돼서야 무장 반란세력이 대부분 소멸됐다’며 즐겁게 ‘소탕 끝!’을 외치는 군인의 익살스러운 모습은 공권력의 개입을 정당화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4·3사건의 시발점은 1948년이 아닌 1945년으로 오기했다.
이에 대해 양 신임 회장은 “제주4·3은 공권력에 의해 무고한 양민이 다수 살해됐다는 사실이 사건의 본질”이라며 “문제가 있는 부분에 대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양 신임 회장은 “이외에도 몰라서 대응을 못 하고 있을 뿐 전국 많은 자료들에 제주4·3이 사실과 다르게 쓰여 있을 것”이라며 “4·3 전국화가 제주도와 유족회의 새로운 과제라면, 국민들이 4·3을 제대로 알도록 왜곡기술을 바로잡는 일도 시급한 과제”라고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관련 작업에 관심을 가져나가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양 회장은 4·3 전국화 노력의 일환으로 제주와 비슷한 아픔을 가진 지역과의 연대를 강화해나가겠다고도 언급했다.
양 회장은 “4·3은 제주 사람들끼리만 풀어갈 문제가 아니”라며 “대만과 광주 등 비슷한 아픔을 가진 도시(국가)와의 연대를 강화하고, 왜곡 집필 수정 작업에도 적극 움직여 다양한 측면에서 4·3전국화를 실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