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가격보장제 등 약속해라”
한농연 ‘제주 농정공약’ 각후보에 전달
“감귤·월동 채소·예산편중 해소도 요구”
4·13총선의 본격적인 선거전이 막을 올린 가운데 제주지역 농민단체가 지속가능한 제주 미래 농업을 담보할 수 있는 제주형 농산물적정가격보장제 도입과 감귤 분야에 편중된 예산 을 형평성에 맞게 밭작물 분야로 확대 지원하는 등의 농정공약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한국농업경영인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회장 이덕진)는 제20대 총선 선거운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0대 총선 제주 농정공약’을 각 정당과 후보에게 전달했다고 31일 밝혔다.
농정공약은 한농연중앙회 농정공약 대토론회 및 시도회장단 회의에서 제기된 농정공약 요구사항과 함께 제주지역 농업인들이 제시한 의견 등을 반영해 마련했다.
우선 한농연제주도연합회는 지속 가능한 제주 미래 농업을 위해 ‘제주형 농산물적적가격보장제’ 도입을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감귤을 비롯해 월동무, 콩 등 밭작물까지 가격지지가 이뤄지지 않아 농민 소득 감소 및 경영비 충당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제주도에서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하는 등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만 확실한 방안이 도출되지 않고 있어 농가의 심리적 불안감이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농산물적정가격보장제 도입을 통해 농가의 경영기반 유지와 불안감을 해소시켜줘야 한다”며 “제도 도입시 농민단체가 주체가 돼 안정가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감귤 분야에 대한 예산편중 문제 해소도 주문했다.
이들은 “제주지역 FTA기금 지원 및 각종 예산 지원이 감귤에만 편중돼 있어 밭작물 농가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며 “감귤이 차지하는 조수입 비중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월동무, 당근 등 월동채소 밭작물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가 넘는 것을 감안, 밭작물 분야 지원 확대를 통해 농가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제주를 농약 및 농자재 가격 최저·안정화 시범지구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기후변화에 대비한 맞춤형 농업정책 마련도 요구했다.
이 외에 한농연제주도연합회는 ▲농림분야 예산 확충 및 집행 효율화 ▲농업인 참여를 통한 실효성 있는 FTA 대책 마련 ▲농업생산기반 확충 ▲영세소농·가족농 보호를 위한 지원책 마련 ▲축산 분야 생산비 절감을 위한 대책 마련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여성농업인의 지위 향상과 역할 제고를 위한 정책 개선 등도 주문했다.
이덕진 회장은 “한농연은 농업인의 권익 보호에 힘쓰고 도덕성과 능력을 갖춘 후보가가 국회의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각 정당 역시 FTA 등 시장개방에 맞서 농업과 농촌에 희망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