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간병통합서비스 혜택 제주는 ‘아득’
정부 연말까지 제공 기관 400개 규모 확대 계획
도내 간호인력 부족으로 민간병원 도입 어려워
정부가 중증환자들의 간병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구 포괄간호서비스)를 올해 말까지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서비스 지역이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면서 간호 인력이 부족한 제주지역의 경우 사실상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일 보험자 및 공급자 단체와의 간담회를 통해 다음 달부터 상급종합병원과 서울 소재 병원들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 연말까지 400개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 계획에 따르면 우선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총 112개(공공병원 23개, 지방 중소병원 89개)가 참여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기관을 연말까지 400개 규모로 늘어난다. 이를 통해 중증환자가 많은 대학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의 간병비(7~8만원) 부담을 하루 2만원 내외(산정특례환자의 경우 4000원)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 도내 보호자들의 관심도 고조되고 있지만 제주지역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은 간호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당분간 어려워 보인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의 경우 서귀포의료원이 지난해부터 이 제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면서 “공공의료 부분에선 도입이 가능하겠지만 현재 부족한 간호인력 때문에 민간병원의 동참을 이끌어 내기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부 역시 이 같은 이유로 충분한 간호 인력이 확보된 (수도권지역)병원부터 제도를 우선 확대한다는 계획이어서 도내 간호인력 유출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도외 지역 대형병원과의 임금격차 등을 이유로 도내 간호대학 졸업생들의 유출이 늘어나는 상황”이라며 “지난해까지 지역에서만 실시되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수도권 병원으로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발표로 도내 간호 인력 수급에 더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도내에서 배출되는 간호 인력은 제주대 68명, 한라대 245명, 관광대 20명 등 모두 333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