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공급체계 변경·할인 폐지 유감”

제주지역 농민단체, 농약 상시할인 시행 촉구
농협 “공급가격 인하·투명성 제고 더 효과”

2016-03-07     진기철 기자

제주농협이 농업인들의 경영비 절감을 이유를 들어 농약 공급체계를 판매장려금을 폐지하고, 원가 개념을 도입해 실거래가격으로 농업인들에게 공급하는 형태로 변경한 것과 관련 농민 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농업경영인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와 ㈔한국여성농업인제주특별자치도연합회는 7일 성명을 내고 농협의 농약공급 체계 변경 과정에서의 할인제 폐지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앞서 농민단체는 농협의 변화와 개혁을 촉구하며 ▲지역농협 계통구매 확대 ▲판매장려금 폐지 ▲농약 원가 공개 ▲조기공급할인제 폐지 및 상시 연중할인제 시행 등을 요구해 왔다.

하지만 농협은 판매장려금을 폐지하면서 상시 연중할인제는 거부하고, 기존에 진행해 오던 할인제도 없애면서 반발을 사게 됐다.

이들은 “판매장려금 폐지만으로는 농가 체감도가 극도로 낮을 수밖에 없다”며 “판매장려금 폐지에 따라 할인을 없애고 상시 연중할인 시행을 거부하는 행태는 자신들의 안위만 생각한 채 농협이란 조직에 농민의 자리는 없음을 시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공급체계 변경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농협은 사업계획이 이미 수립됐다는 명목으로 기존 체계대로 조기공급을 실시해 농약 재고물량을 처리해 수익을 챙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공급체계 변경에 따라 제주시 지역농협은 5%의 매출수익을 붙이는 반면, 서귀포시 지역농협은 7~8%의 다소 높은 매출수익을 가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여전히 서귀포 지역농협들이 농약 판매에 따른 수익을 챙기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농협은 농민들의 권익보호와 이익 창출을 위해 존재하는 조직임을 인식해야 한다”며 “지역농협 조합장들도 선거 출마 때마다 ‘농약 등에 대한 상시 연중할인을 시행해 농민을 위해 봉사하고 경영비를 절감 시키겠다’고 제시한 약속을 지켜야 하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농민과 농협간 신뢰구축을 위한 이번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15만 제주농민과 더불어 강력한 투쟁을 벌여나가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제주농협 측은 이에 대해 “장려금을 활용한 공급가격이 농협별로 차이가 남에 따라 장려금을 폐지한 원가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상시 할인제는 무의미하다”며 “농약제도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상시 연중할인도 검토했지만, 장려금 폐지가 더 농업인 공급가격 인하 및 투명성 제고에 효과적이라 이 같이 결정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