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재단 말로만 정책연구…실제로는 ‘세미나 사업‘
17일 문광위 문예재단 업무보고서 “정책연구 세미나를 위한 것 아니”
이선화 의원 “문예재단은 제주 예술인들의 현장 소리 담는 연구 필요”
2016-02-18 오수진 기자
제주도문화예술재단의 정책포럼 문화정책 연구 자료가 아직도 학술 연구집으로만 그치면서 문화 예술인들의 현장 소리를 담아내는 정책 연구가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7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서 열린 제337회 임시회 제주도문화예술재단(이하 문예재단) 주요업무보고에서 이선화 의원(새누리당·삼도1·2동·오라동)은 문예재단의 연구가 정책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 의원은 “문예재단과 제주발전연구원(이하 제발연)의 문화 관련 연구 결과의 차이가 무엇이냐”며 “문예재단은 정책화하는데 기관적인 한계가 있는데, 오히려 제발연에 업무를 이관해서 정책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편이 낫지 않은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문예재단 현승환 이사장은 “문예재단이 하는 정책연구는 일종의 문화정책포럼 세미나 사업”이라며 “매년 전문가들이 진행한 포럼 결과를 통해 보고서 형식의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제주문화예술정책연구는 세미나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며 “문예재단이 해야 할 일은 실제 도민들이 많이 향유하는 문화가 무엇인지, 어떻게 문화의식이 변해 가는지 정책 연구집에 담아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문예재단은 매년 하반기 1회씩 한 해 동안의 문화정책이슈를 갖고 학계 및 전문가들을 섭외해 정책포럼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4월 개최할 예정이다.
문예재단 측은 “도가 추진하는 1년간의 문화정책이슈를 갖고 자리를 마련해 검토 하는 것이 포럼”이라며 “단기적으로 정책 시정을 하는 것은 어렵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