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인 고민 해소 위해 모두 '한자리에'
12일 문체부·제주도·문예재단 합동설명회 개최
문화도시·문화의 거리·무형문화재 지원 등 질의
문화예술인들의 고민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화의 장을 펼쳤다.
지난 1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문화예술재단(이사장 현승환)이 설문대문화센터 대강당에서 문화예술인 150여명과 만나 ‘2016 문화정책 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설명회는 지역 예술인들의 고충을 듣기 위해 정부와 행정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올해 새롭게 바뀐 정책들을 설명하고 도민과 예술인들의 질의에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지자 참석자들의 다양한 질문들은 거침이 없었다. 우선 전국 4곳에 지정돼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고 있는 ‘문화도시’의 의미와 선정 기준에 대해 궁금증을 가졌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상준 지역전통문화과장은 “지금 선정된 문화도시들은 각 지자체에서 예산 사업으로 추진해 만들어진 것이지 어떤 법적인 요건을 가져야만 선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앞으로는 지역문화진흥법상 문화도시의 근거가 생겼기 때문에 관광도시, 영상콘텐츠 도시 등 유형별로 체계적 기준을 만들어서 문화도시를 선정할 것”이라며 “올해 내로 신청을 받아 선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서귀포시 원도심 내 있는 솔동산 ‘문화의 거리’가 수십 년 동안 있던 가로수는 뽑아내고 새 나무들을 심는 것은 본래 목적을 잃은 것은 아닌지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제주도 김현민 문화정책과장은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용역 결과가 이달 말 결과가 나온다”며 “이를 통해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하고 필요하다면 추가 지정도 검토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도 무형문화재 16호 제주농요 이수자 김양희씨는 “도 사업에서 무형문화재에 대한 것은 없다”며 “무형문화재가 후대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부탁한다”며 행정에 아쉬움과 당부의 목소리를 냈다.
한편 도는 이번 사업 설명회를 시작으로 문화예술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문화예술의 섬 조성을 위한 도민 대토론회를 연 8회에 걸쳐 개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