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눈폭탄 ‘제주섬 꽁꽁’ 고립 이틀째
폭설 32년만·한파주의보 7년만 동장군 기승
서귀포 최저기온 영하 6.4℃ 관측이래 ‘최저’
제주도 전역에 7년 만에 한파주의보가 발효되는 등 동장군이 기승을 부리며 하늘·바닷길이 모두 막혀 제주섬이 이틀째 완전히 고립됐다.
도심에는 32년 만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고, 일부 지역은 기상관측 이래 가장 낮은 기온을 보이는 등 최강 한파에 온 섬이 꽁꽁 얼어붙었다.
24일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제주 산간에는 한라산 윗세오름 135cm, 진달래밭 122cm, 어리목 96cm 등 많은 눈이 쌓였다.
그 외 제주 전역에도 많은 눈이 내려 제주 11.4cm, 아라 25cm, 서귀포 8cm, 고산 7cm, 성산 14cm 등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특히 23일 오후 8시에는 제주에 최대 12cm의 눈이 쌓였다. 이는 1984년 1월 13.9cm 이후 신적설량으로는 32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폭설로 한라산 입산은 23일부터 전면 통제됐다. 적설과 결빙으로 중산간 도로는 대부분 대·소형 차량 운행이 모두 통제됐으며, 시내 도로도 월동장구를 갖춰야 운행할 수 있다.
이보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를 기해 제주 전역에 2009년 3월 13일 이후 7년 만에 한파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기온도 뚝 떨어졌다.
24일 제주의 일 최저기온은 영하 5.8도까지 떨어져 영하 6도까지 떨어졌던 1977년 2월 16일과 영하 5.9도까지 떨어졌던 1977년 2월 15일에 이어 약 40년 만에 가장 낮은 기온을 보였다.
게다가 서귀포는 영하 6.4도, 고산은 영하 6.1도까지 떨어지며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낮은 기온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성산은 최저기온이 영하 6.9도까지 떨어져 1990년 1월 23일 영하 7도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기온을 보였다.
오후 4시 기준 낮 최고기온도 제주시 영하 2.1도, 서귀포·고산 영하 3도, 성산 영하 4.1도 등을 기록하며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낮은 기온 분포를 보였다.
제주 산간·북부·서부에는 강풍경보, 남부·동부에는 강풍주의보가 각각 발효되면서 체감온도는 큰 폭으로 내려갔다.
기록적 폭설과 강풍 속에 하늘길도 막혔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는 항공기 운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23일 오후 5시50분부터 25일 오전 9시까지 활주로 운영을 전면 중단했다.
해상에 물결이 높게 일고 바람도 강하게 불면서 바닷길도 모두 끊겼다. 제주도 전 해상과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에 풍랑경보가 발효돼 여객선과 도항선 운항이 사흘째 전면 통제됐다.
기상청은 25일까지 제주 산간에 10∼30cm, 산간을 제외한 지역에 1∼5cm의 눈이 더 내리겠으며,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고 기온도 영하권을 맴돌아 매우 춥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25일까지 제주 전 지역에 많은 눈이 쌓이고 어는 곳이 있겠으니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각종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항공기 운항 중단으로 제주공항에 대기하는 관광객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중심으로 제설 작업을 진행하는 등 24시간 활동을 벌이고 있다.
제주도 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도로가 얼어붙어 교통 안전과 보행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며 “비닐 하우스와 축사 시설에서도 폭설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