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따라 ‘오락가락’ 교육정책 혼란만”
MB정권 도입한 영어회화 전문강사제도 폐지 수순
제주도교육청 재계약 사실상 없애…2019년 종료
이명박 정부가 영어교육 강화를 강조하면서 도입한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가 2019년 폐지된다.
새로운 직종의 강사를 선발하면서 야심차게 추진한 정책이 정권 교체로 폐기되면서 교육현장엔 혼란만 남았다.
제주도교육청은 4일 2016학년도 도내 영어회화전문강사 신규 채용기준을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초등의 경우 신규채용을 지양하고, 중등의 경우 영어수준별 이동수업에 따른 확대학급 수업지원에 한해 신규 채용을 실시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중등의 경우 지난해부터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도교육청의 이날 발표는 사실상 영어회화전문강사를 더 이상 뽑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따라 도내에 등록된 119명은 올해부터 계약기간이 끝나기 시작해 길어도 2019년이면 근로관계가 모두 종료된다. 채용 이후 한 학교에서 최대 4년간만 근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명 '영전강'이라 불리는 영어회화전문강사는 갑작스러운 영어교육강화 정책에 따라 정규 교사들의 부족한 영어실력과 영어 시수 확대에 따른 업무 보조를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이후 교대에 영어 전공이 생겼고, 중등의 경우 영어 우열반 수업이 없어지면서 이들의 역할이 줄었다는 것이 제주도교육청의 설명이다.
현장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 2 자녀를 둔 김인성(외도동)씨는 “지난해부터 학교에서 수준별 수업을 하지 않으면서 우열반 수업을 진행하는 학원에 아이를 보내고 있다”며 “그런데 최근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등 덜 중요한 과목이 되는 건 아닌지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 정책이 자주 바뀌면서 자녀 교육에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 한다는 불만으로 이해된다.
해당 강사들의 입장도 난감해졌다.
내달이면 계약이 만료되는 중문중학교 이지현 강사는 “2009년 시험을 보고 2010년 제주도교육청을 통해 학교에 발령될 때만 해도 4년에 한번 학교를 옮기거나 시험을 새롭게 치러야 한다는 말만 들었다”며 “강사직 자체가 폐지될 것이라고는 아무도 생각하지 못 했다”고 먹먹해했다.
이어 “지난 6~7년간 매주 22시수씩 혹은 그 이상 최선을 다해 아이들을 가르쳤는데 공문 한 장으로 삶이 바뀐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털어놨다.
이런 가운데 일부 강사들은 당초 영전강 선발의 이유가 된 초등학교 3~6학년 수업시수 증가분이 여전히 유효한 상황에서 강사들만 없어지는 격이라며 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름을 밝히기를 꺼린 한 강사는 “우리 같은 보조교사를 두는 것이 초·중등교육법에 명시된 권리인 것은 안다”면서도 “강사 한명한명의 삶과 교육 현장의 혼란을 생각하면 정책 도입과 폐지는 신중히 시기를 예상해 추진해야 한다”고 일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