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최초 소방헬기 ‘수리온’ 안전성 논란

도소방안전본부 KAI 도입 계약 체결···2017년까지 납품
‘원래 군용’ 감항 증명 못받아···대다수 지자체 “부정적”

2015-12-30     김동은 기자

제주 역사상 최초로 도입되는 다목적 소방헬기 기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 수리온’으로 최종 결정됐다.

하지만 애초 군용으로 개발돼 소방헬기로 쓰인 전례가 없는 데다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성능을 갖췄다는 감항 증명도 아직 받지 못해 안전성 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제주도 소방안전본부는 지난 28일 조달청으로부터 가격 개찰 결과를 통보 받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수리온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계약 금액은 252억3000만원으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17년 12월까지 ‘수리온’을 납품하게 된다.

소방안전본부는 제주지역 숙원 중 하나인 다목적 소방헬기 도입을 위해 지난해 계획을 수립한 뒤 올해 6월 공유재산관리계획을 의결한 데 이어 전문가 등이 참여한 자문 회의와 규격 심의를 거쳤다.

이후 지난 9월 사전 규격을 공개한 뒤 2차례에 걸쳐 규격서와 제안 요청서를 포함한 공개 경쟁 입찰 공고를 냈지만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 2차 모두 단독 응찰하면서 유찰, 수의 계약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소방안전본부가 도입하는 수리온에는 신속한 인명 구조를 위한 장비인 호이스트와 화재 진압 장비인 밤비 버킷·배면 물탱크, 응급 처치 세트(EMS-Kit)가 장착된다.

또 야간 임무 수행을 위해 전자광학 적외선 카메라, 겨울철 임무 수행 시 필요한 제빙·방빙 장치, 해상 운항을 위한 비상 부유 장치,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한 공중 충돌 경고 장치 등도 설치된다.

그러나 수리온은 원래 군용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헬기에 탑재되는 각종 소방 장비에 대한 형식 증명은 물론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다는 성능을 갖췄다는 감항 증명도 아직 없는 상태다.

감항 증명은 크게 표준감항증명과 특별감항증명으로 나뉘는데 수리온은 항공법상 감항 증명 대상 기종이 아닌 만큼 소방헬기로 운용하려면 국토교통부의 특별감항증명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충남과 경남을 제외한 대다수의 지자체 소방본부가 지금의 수리온을 소방헬기로 도입하는 것에 대해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달 강원도 소방본부는 수리온이 소방헬기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이탈리아 아구스타 웨스트랜드사(AW)와 신규 소방헬기(AW-139) 도입 계약을 맺었다.

도내 소방 전문가는 이와 관련, “제주는 섬이라는 지역적 한계에도 소방헬기가 없어 다른 기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소방헬기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를 운용함에 있어 무엇보다 대원들의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전문가 등이 참여한 자문 회의와 규역 심의 등을 통해 수리온이 소방헬기 기종으로 적합하고 안전하다고 판단했다”며 “납품 때까지는 반드시 감항 증명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제작사 측에서 수리온에 대한 감항 증명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조종사와 정비사를 내년에 우선 채용해 중간 검사를 비롯해 제작 전반에 걸쳐 철저한 검사를 하는 등 최종 인수 검사까지 안전성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