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촘촘해야 할 ‘제주미래비전 용역’
통계청이 지난 25일 발표한 ‘10월 국내인구이동’ 현황에 의하면 지난달 전입인구에서 전출인구를 뺀 제주지역 순유입(순이동) 인구는 1370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순유입 인구는 1만1967명으로, 현재 추세라면 연말엔 무려 1만5000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1년에 순유입 인구가 1만5000명이나 증가하는 것은 결코 보통 일이 아니다. 이는 2014년 기준 구좌읍 인구(1만4284명)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한경면 인구(8217명)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제주의 미래(未來)계획이 보다 촘촘히 짜여져야 할 이유다.
민선 6기 원희룡 도정의 ‘제주미래비전 용역’이 인구 80만명(최대 100만명)을 기본으로 ‘원도심 재생(再生) 및 지역균형 발전’을 목표로 계획이 수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비전연구단은 중장기적인 목표 시점을 2030년으로 잡고, 제주인구가 80만명 이상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연구단은 인구 80만명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새로운 택지개발은 필요치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제주의 인구 증가세 및 경제발전 목표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상주인구 100만명을 전제(前提)한다면 추가적인 택지 공급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연구진은 원도심 재생을 위한 중점 목표를 ‘정주(定住)’와 ‘관광(觀光)’ 두 가지로 설정했다. 또 민선 5기에서 추진하다 포기한 ‘트램(노면전차)’ 도입도 다시 꺼내든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정체성 모호 논란 등이 예견되는 대목이다.
이번 용역은 제주의 미래비전과 관련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다. 첫 그림이 잘못 그려지면 계획 전체가 흐트러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기에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보다 신중하고 꼼꼼한 계획 마련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