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대란 없어야 한다

2015-11-24     제주매일

제주 유입 인구 및 관광객이 늘면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가 쓰레기다. 수거 등 처리비용 증가는 물론 매립장 시설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제주시 지역 폐기물이 반입되는 봉개동 회천매립장은 내년 10월이면 만적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대체할 시설인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센터는 2018년 말 완공될 전망이다. 1년여 이상 쓰레기 처리난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신규 매립장 사업 추진이 더디게 진행되는 데 대해 제주도정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동복리 주민들의 제주환경자원센터 유치 결정은 2014년 4월에 이뤄졌다. 공사 착수는 내년 10월로 계획되고 있다. 이처럼 사업 추진이 지연된 것은 총사업비 때문이다. 기획재정부와 환경부의 검토기준이 다르고, 매립장 사용연한에 대한 시각차로 총사업비 결정이 늦어졌다.

그렇지만 제주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포화시기는 차치하고 회천매립장 사용기간이 내년 9월까지인데도 대처가 너무 안이했다. 막연하게 회천매립장 연장 사용에 기대를 걸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봉개동 주민과의 매립장 연장 사용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이 협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도내 쓰레기 처리난은 불가피하다. 행정이 제반 상황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해 실효성 있게 접근해야 했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경위야 어떻든 쓰레기 대란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봉개동 주민들의 양보가 요구된다. 신규 시설이 건립되기 이전까지는 기존 매립장 활용이 필요하다. 제주도는 보다 성의를 가지고 주민들과의 협상에 임해야 한다. 합리적인 요구사항은 적극 검토하고 지원해야 한다.

시민들의 쓰레기 감량의식도 중요하다. 쓰레기 줄이기와 분리배출은 매립장 문제를 도외시하고도 시민들이 생활습관으로 실천해야 할 사안이다.

청정환경을 자랑하는 제주에서 쓰레기 대란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제주도가 위기의식을 가지고 이를 막기 위한 특단의 노력을 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