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에어시티 사업’ 신중 기해야

2015-11-17     제주매일

원희룡 제주지사가 최근 제2공항 예정지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투기 의혹에 대해 엄단(嚴斷)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했다.

원 지사는 16일 열린 주간정책회의에서 “출처는 불분명하지만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외지인 토지 소유 등 투기(投機)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민의 희생 한편에서 엉뚱한 사람들이 배를 불리는 일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선 토지대장을 중심으로 토지현황 및 소유실태를 조속히 정리하고 이용실태를 분석하는 등 기초자료를 철저히 조사해 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원 지사는 “3년 이내 토지거래 현황을 분석해 투기 정황이 포착되는 토지에 대해서는 사법당국에 수사를 의뢰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나 투기를 부추기는 것은 정작 ‘제주도’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6일 성명을 내고 “원희룡 지사가 제2공항 건설과 관련 ‘에어시티’ 등 설익은 사업으로 되레 혼란(混亂)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경실련은 “원 지사는 최근 인터뷰 등을 통해 제2공항 소음피해 주변 지역을 에어시티로 조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며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발언 수위를 보면 에어시티 추진에 의욕(意慾)을 드러내고 있다”고 공박했다.

이 같은 제주경실련의 지적은 지극히 옳다. 에어시티 사업은 기본적인 타당성 검토조차 이뤄지지 않은 미검증(未檢證) 사업이다. 설혹 추진된다 하더라도 열악한 제주도민 자본보다는 대자본 중심의 국내외 자본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섣부른 정책 발표보다 제2공항 건설과 주민 피해대책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