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어떻게 추진하느냐가 문제다

2015-11-11     제주매일

제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온평 일대에 건설하는 것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 소식을 접한 지역주민들은 다소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찬반(贊反)을 떠나 사전 설명회나 대화 등 소통이 전혀 없어 갈피를 잡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원희룡 제주지사와 구성지 도의회 의장은 10일 ‘공동 담화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담화문을 통해 “지난 25년간 논의만 거듭하면서 표류하던 제주공항 인프라확충 방안이 이제 명확한 결론을 내고 ‘역사적 대사업’의 첫발을 내딛게 됐다”고 환영을 표했다.

이어 “정부는 제주공항의 중장기 수요 증가에 따른 근본대책으로 입지조건 및 사업여건,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2공항 건설을 최적 방안으로 결론지었다”고 밝혔다. 또 제2공항 입지 검토 결과 공역(空域)과 기상을 비롯해 소음과 환경, 접근성과 확장성, 주변개발과 사업비 등 주요항목의 평가점수에서 신산 지구가 압도적 1위를 차지해 건설 후보지로 선정됐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담화문에서 밝힌 것처럼 제2공항 건설은 제주 역사상 최대규모(4조1000억원)의 사업이다. 50년 전 ‘물과 길의 혁명’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일궈냈듯이, 제주를 미래로 이끌 제2의 전환점(轉換點)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제 시작일 뿐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최우선적인 과제는 지역주민들의 동의를 얻어내는 것이다. “마을 내에서도 찬성과 반대 의견이 있을 것이나 가장 걱정되는 것은 갈등(葛藤)”이라며 “화합이 잘되는 신산리가 공항 때문에 마을이 두 조각 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양재봉 신산리장의 말 속엔 지역주민들의 우려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제2공항 건설 후보지가 5개 마을에 걸쳐져 있는 것도 부담이다. 당국이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할 경우 자칫 마을간 불화나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현재 제주공항 인프라가 이미 포화상태인 만큼 건설기간을 최대한 단축시켜야 하는 것도 당면한 과제다.

민주주의는 결과 못지않게 과정이 더 중요하다. 아무리 국책사업이라 하더라도 절차상의 하자(瑕疵)가 없어야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일방적인 밀어붙이기 보다는 성산읍 주민들이 중심이 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해군기지로 인한 ‘강정사태’에서 이미 절절하게 확인된 바 있다.

이를 위해선 제주도 등 관련당국이 최대한의 인내심을 갖고 주민 설득에 나서는 등 소통(疏通) 강화에 주력해야 한다. 여기엔 도민들의 적극적 협조와 협력 또한 필요하다. 모쪼록 제2공항이 ‘상생(相生)과 새로운 발전의 모델’이 되어 제주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견인차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