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교과서 집필 참여 논란

한민구 장관, "주요 현대사에 군 입장 제대로 반영 안 됐다"
국방부, 과거에도 민간인 살상 등의 서술에 시정요구 전례있어

2015-11-07     문정임 기자

국방부가 역사교과서 집필 참여 의지를 드러내 파장이 일고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4·3과 6·25 등)기존의 역사서술에 군의 입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군에서 교과서 집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지난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새누리당 한기호 새누리 의원이 4·3 사건과 6·25 전쟁 등을 언급하며 “이번에 교과서 작업을 할 때 군에 대한 부분을 어떻게 할 것이냐”고 묻자 이 같이 답변했다.

한 장관은 "역사적 사건들에서 군의 역할이 축소되거나 폄하되는 등 제대로 기술되지 않아왔다"며 "이런 부분은 앞서도 교육부에 여러 차례 시정을 요구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기호 의원은 "4·3사건에 대해서도 실제 우리 군이 아주 폄하돼 있고 6·25전쟁과 월남전에 대해서도 일부 잘못 기술돼 있다"며 "이번 교과서를 만들 때 이렇게 국군을 나쁜 군인처럼 만들어놓은 교과서가 반드시 시정되도록 장관은 직을 걸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번 국방부의 입장은, 이보다 하루 앞선 지난 4일 김정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이 역사교과서 집필진 관련한 언급에서 “역사학자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 학자로 구성하고, 6.25의 경우 군사학자들까지 들어갈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예상했던대로 4·3 등 주요 현대사에 대한 정부의 역사 왜곡 작업이 본격화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직후인 지난 3~5일 실시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10주만에 최저 치를 기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