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사학 책임지지 않는 복귀 안돼”
모교 잃은 학생·급여 미지급 교수들 고통 진행중
“구재단 복귀하면 학내 분규 더 거세질 것” 우려
제주국제대학교의 지난 15년 사태는, 2000년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교를 운영중이던 동원교육학원에서 비리가 터지면서 시작됐다.
당시 제주산업정보대학 학장이던 김동권 전 동원교육학원 이사장이 185억원 교비 횡령으로 구속됐다. 김 전 이사장은 1997년 탐라대학교를 설립하면서 산정대 학생들이 등록금으로 낸 교비회계에서 상당한 재원을 끌어다 쓴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김 전 이사장의 횡령액 변제를 통한 학교 정상화 추진을 위해 관선 임시 이사회를 파견했다. 그리고 '대학 통합'과 '2016년 1월까지 탐라대 부지 매각 후 전액 교비 전입'을 정상화의 전제로 제시했다.
이후 산정대와 탐라대는 수년간 교육부로부터 전국 최하위 대학이 받는 경영부실대학 등으로 지정되면서 각종 재정지원사업 참여가 금지되고 학자금 대출이 제한되는 등 극빈의 상황에 내몰렸다.
거듭된 이사장 교체와 계속된 이사회의 파행 끝에 제주국제대는 통합 출범 2년만에야 초대 총장을 선임했다. 이어 학과 개편과 옛 탐라대 부지 매각 추진으로 정상화의 단초를 찾아왔다.
특히 최근에는 제주도가 제주국제대 집행부의 구원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옛 탐라대 부지 매각은 제주도의회 동의 절차만 남겨두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가 '유일한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이유로 추진하는 옛 탐라대 부지 매입이 동원교육학원의 임시이사체제 해소 사유가 되면서 비리 재단 복귀의 빌미가 되는 것 아니냐는 각계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현재 제주국제대 집행부에 맞서 제3투자자 영입 등을 주장하는 일부 교직원들의 주장의 핵심도 "경영진 교체가 필요하다"는 데 있다.
제주국제대 민주화와정상화추진협의회와 민노총 산하 제주국제대 노조 등은 "김 전 이사장이 개인 사비로 변제한 횡령액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책임을 지지 않았는데 다시 경영 일선에 복귀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분노했다.
이들은 특히 "구 재단이 복귀하면 학내 분규는 더 거세져 다시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임시 이사회를 파견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무엇보다 구 재단의 복귀는 전 이사장의 비리로 촉발된 지난 15년간의 상처가 제대로 씻겨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적절치 않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학교가 사실상 폐교되면서 모교를 잃어버린 학생들과, 급여가 밀리면서 생활이 곤궁해진 교직원들의 어려움과 상처는 여전히 진행중이기 때문이다.
제주국제대 복수의 교수들은 "더 큰 소요를 막기 위해서는 제주도가 최종 매입 절차를 진행하기 전, 당초 호언한 구 재단 경영진의 복귀를 막을 안전장치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