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강행 군사작전 방불”
제주 35개 사회단체 회견
교과서 국정화 중단 촉구
‘이념 대립·민생 혼란’ 우려
교육부가 지난 3일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전환을 골자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의 국·검·인정 구분'을 확정 고시한 가운데 4일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부의 고시강행을 '군사작전'에 비유하며 일제 규탄에 나섰다.
도내 32개 단체들로 구성된 한국사교과서국정화반대 제주지역 시민사회노동단체 연대는 4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반민주적인 국정화 고시 즉각 중단과 국론 분열에 대한 사죄를 촉구했다.
국정화반대 제주연대는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정치권력이 역사해석을 독점하고 자신의 견해를 어린 국민들에게 강요하겠다는 의도"라며 "정부는 역사의 평가를 받는 대상이지 평가하는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지난달 12일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계획을 발표한 이후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학생과 학부모, 교사, 교수, 역사학자들이 국정화 철회를 외쳤지만 박근혜 정권을 눈과 귀를 닫고 고시를 확정했다"며 "마치 군사 작전하듯 고시를 일방적으로 앞당겨 발표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생 혼란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국정화반대 제주연대는 "정부가 민생을 제쳐두고 나라 전체를 극단적 갈등과 혼란의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다"며 "오직 자신들의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이념 대립을 조장함으로써 사회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국가 공권력에 의해 무고한 도민들이 이유도 모른 채 학살됐고, 이 4·3의 아픈 역사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며 "제주도민들은 거짓된 역사왜곡에 끝까지 단호히 맞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