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소 부족으로 전기차 못 달리다니
전기자동차 운행을 위해서 충전소는 꼭 필요하다. 충전소가 없으면 전기자동차는 결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충전소는 전기자동차 보급에 앞서 꼭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인프라라는 점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치 않다. 그런데 제주도내에 충전소가 부족해 전기차 보급이 차질을 빚고 있다면 잘못 돼도 한참 잘못됐다.
‘탄소 없는 섬’ 실현을 위한 전기차 보급사업은 제주도가 내놓은 가장 야심찬 사업 중의 하나다. 오는 2030년까지 제주도내 37만대의 모든 내연기관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 탄소 없는 청정제주를 만들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목표다.
그래서 제주도는 올해 안에 1515대의 전기차를 보급키로 하고 이중 민간인용으로 1488대를 배정했었다. 하지만 이 가운데 30%인 447명이 구매를 포기해 버려 결국 올해도 두 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300여대가 남아돌게 됐다.
이렇듯 전기차 구매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은 충전소 미비 때문이다. 전기차를 구매해도 충전 할 수가 없으니 포기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바로 이 문제가 엊그제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논란이 됐다. 허창옥-하민철 의원은 “충전소 등 전기차 인프라 부족, 관련 조례 미흡, 내년 전기차 4000대 보급은 밀어붙이기식 어불성설(語不成說)”이라며 제주도의 앞뒤 안 맞은 전기차 보급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나 제주도의 얘기는 다르다. “11월 안에 계약과 출고를 완료해 올해 전기차 보급목표 1515대를 달성할 것이며, 현재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는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도 세부전략을 마련, 내년도 전기차 보급목표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 준비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제주도의 이러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올해 1515대, 내년 4000대 등 2년간 5515대의 전기차를 차질 없이 보급할 수 있느냐의 여부는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특히 오는 2030년까지 37만대의 내연기관 차량을 모두 전기차로 교체할 수 있는지는 더욱 모를 일이다. 그 성패 여부가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달려 있다. 어쨌거나 충전소가 부족해 전기차가 못 달린다면 이유가 어떻든 말이 되지 않는다. 제주도는 전기차 보급과 인프라 구축을 병행해 2030년에는 꼭 ‘탄소 없는 청정제주’를 탄생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