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논란 中 단체관광 품질 관리 강화

문체부, 중국 전담 여행사 전자관리시스템 가동
최저가 상품 기준 및 수수료 가이드라인도 마련

2015-10-25     진기철 기자

‘저가관광’ 논란이 끊이지 않는 중국 단체관광에 대한 품질 관리가 강화된다.

25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중국 전담여행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자관리시스템’이 다음달 1일 본격 가동된다.

또 학계, 연구기관, 여행업계 관계자 등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단체관광 품질관리위원회’를 구성, 운영하는 등 중국 단체관광 품질 관리를 위한 대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지난달 23일 총 209개 중국 전담여행사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전자관리시스템’ 보완작업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전담여행사는 유치 단계에서부터 여행 일정을 ‘전자관리시스템’에 입력한 후 전담여행사 및 가이드 등 정확한 정보가 수록된 정보무늬(QR코드)를 다운받아 부착해야 한다.  전담여행사의 정보무늬를 통한 현장 확인으로 비전담여행사의 단체관광객 유치 행위를 근본적으로 차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실적 단계에서는 방한 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유치 현황을 분석하는 등, 단체 관광에 대한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문체부는 시스템의 정보를 법무부, 경찰청, 지자체 등과 공유해 비전담여행사의 단체 관광객 유치, 무자격가이드 활용, 무단이탈 등 시장질서 훼손 행위에 대한 점검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최근 출범한 ‘단체관광 품질위원회’를 통해 초저가 여행상품의 기준을 마련하고, 수수료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등 시장질서 확립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중국 전담여행사에 대한 지원 확대와 관리 강화를 위해 우수 상품 운영 전담여행사 지원 확대, 무단이탈 제재 기준 및 갱신제 심사 기준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중국전담여행사업무시행지침’을 개정해 시행할 계획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중국 단체관광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정부, 학계, 업계 등 공동노력의 일환”이라며 “전담여행사에 대한 권익을 보호하는 한편 이에 따른 책임 강화 등을 통한 방한 관광시장 질서 확립과 체질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