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協治 정체성’ 논란, 과연 언제까지…
원희룡 제주도정의 제1공약인 ‘협치(協治)’를 둘러싸고 아직도 논란이 일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다. 주요 현안에 대해 ‘서로 중지(衆智)를 모으고 협력’하면 될 것을, 정체성이 어떻다는 등 논란만 되풀이하는 것은 아무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최근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가 실시한 ‘2015 제주도 공무원 패널·도민 의식조사’ 결과를 놓고서도 서로의 해석이 달랐다. 협치를 바라보는 시각 차(差)에 대해 공무원들은 ‘도민 무관심’을, 도민들(주민자치위원)은 ‘제주도의 의견수렴 부족’을 탓하는 식이다.
이번 조사결과 ‘협치’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질문에 ‘긍정적’이라고 답한 공무원은 43.2%에 불과했다. 공무원마저 절반 이상이 ‘협치’의 개념(槪念)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도민들의 ‘협치’에 대한 이해도는 더욱 부족해 고작 34.8%만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협치’의 성과에 대한 평가에선 공직과 도민사회의 온도차가 더 벌어졌다. 공무원 중 40.8%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도민들의 긍정적 답변은 12.2%에 그쳤다. 전문가집단도 ‘협치’를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가 13.0%에 머물러 도민사회와 부정적 인식을 같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원희룡 도정(道政)의 ‘전략적 미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 슬로건’은 단순하고 명료하며 명쾌해야 한다. 미국의 빌 클린턴이 걸프전 승리로 인기를 누리던 부시의 재선(再選)을 막으며 대통령에 당선된 것은,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라는 단순 명쾌한 슬로건의 힘이었다.
원 지사가 내건 ‘협치’의 의미를 어느 정도는 다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하겠다는 등 ‘구체성’에 대해선 정작 아는 이가 드물다. 정체성(正體性) 상실 등의 논란도 그래서 나온다.
이와 관련 한 의원은 “도민사회 혼란과 의회와의 불필요한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협치정책’을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고 원희룡 도정이 “협치를 포기하겠다”는 말을 꺼내지는 않겠지만, 이 같은 우문(愚問)에 어떤 현답(賢答)을 내놓을지 궁금한 것은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