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광풍 속 ‘미친 집 값’ 잡기 나선 道
‘부동산 광풍(狂風)’이라고 할 만큼 제주지역 부동산이 2010년 이후 최대 활황세를 맞고 있다. 제주시 연동의 한 20평형대 아파트 실거래가(實去來價)는 2010년 말 2억5000만원 전후였으나 올해 초 3억5000만원 선에서 거래됐다. 무려 1억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특히 노형동과 연동을 중심으로 한 개별 단지의 가격은 통계에 잡히는 것보다 훨씬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분위기다. 또 제주 경매시장에선 토지 낙찰가율이 감정가 대비 170%까지 치솟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우선 ‘공급(供給) 부족’을 들고 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는 신규로 분양할만한 부지가 적고 분양물량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반면에 제주도 인구는 지난 2013년 60만명을 돌파한 이후 올해 63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한 달 평균 1000명 이상의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셈이다.
상식을 벗어난 이 같은 부동산 광풍의 혜택은 ‘돈 있는 자’의 몫일 뿐,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집을 아직 마련하지 못한 서민(庶民)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제주자치도가 원희룡 지사까지 나서 ‘미친 집 값’ 잡기 대책을 마련키로 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제주도는 도개발공사 및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함께 ‘주거복지종합대책’ 마련 TF팀을 구성해 운영 중으로 올해 말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거론되는 방안으론 개발공사가 진행하고 있는 행복주택 공급 확대, 정부가 추진 중인 ‘New Stay 정책(기업형 임대주택)’ 등이 꼽힌다. 이와 함께 도유지(道有地)를 활용해서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방안과 기반시설 지원 등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중·서민층의 주거 공간 마련 문제가 심각해져 공공주택 분양을 더 이상 민간에게만 맡기지 않을 방침”이라며 올해 말까지 주거복지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자치도 등의 종합대책이 ‘주거복지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중·서민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길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