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박연상 할아버지의 마지막 꿈
제주시 동문로에 거주하는 박연상(82) 할아버지의 고향은 황해남도 벽성군이다. 이산가족(離散家族)인 그는 올해 추석도 북녘 땅에 두고 온 가족들을 아련하게 그리며 보냈다.
박 할아버지는 6·25전쟁이 발발(勃發)한 이듬해인 1951년 1·4후퇴 당시 남녘으로 내려왔다. 그의 나이 고작 19살 때였다. 당분간 피해 있으라는 아버지의 말에 형의 손에 이끌려 남하한 것이 가족과 생이별(生離別)이 될 줄은 정말 몰랐다.
피란길은 ‘죽을 고생’ 그 자체였다. 잠시 야산에 숨어 있다가 무인도에 들어가 8개월이나 살았다. 먹을 것은 물론 마실 물조차도 없었다. 간혹 섬 밖으로 나와 음식을 구해 간간이 끼니를 해결하곤 했다.
피란(避亂) 초기 인천 월미도 미군 헌병부대에서 잡일을 한 것도, 될 수 있으면 고향에 가까운 곳에 머물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비극적인 전쟁은 끝내 남(南)과 북(北)을 철조망으로 갈라놓았다.
그 이후 가족과는 연락이 끊겼다. 아무런 연고가 없는 남녘에서의 삶은 막막하기만 했다. 형과 함께 충남 공주로 내려와 천을 만드는 공장에서 기술을 익히며 어렵게 살았다. 그리고 26살 되던 해 낯설고 물 선 제주로 와 정착했다.
박 할아버지는 제주에서 결혼하고 세 자녀까지 뒀다. 그의 삶을 지탱한 원동력은 머지 않아 곧 통일(統一)이 될 것이라는 희망이었다. 하지만 고향을 떠나온 지 60년 이상의 세월이 훌쩍 흘렀건만 통일로 향하는 길은 아직도 아득하기만 하다.
박연상 할아버지는 이산가족 상봉 신청도 따로 하지 않았다. 기대가 크면 그만큼 실망도 크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이다. 넉넉하지 않은 집안 형편도 신청을 꺼리게 만들었다.
대한적십자사 제주도지사 등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 거주하며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사람은 540명. 이 가운데 1명만이 10월에 있을 이산가족 상봉 남쪽 후보자(250명)에 포함됐다. 또 북한에 사는 제주 출신 7명도 북측 상봉 후보자(200명) 명단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할아버지의 깊은 주름 속엔 지난 세월의 고단한 흔적이 켜켜이 쌓여 있다. 이제 남은 그의 마지막 소원(所願)은 ‘북녘에 있는 가족들이 건강하고, 살아 생전에 그리운 고향 땅을 한번이라도 밟아보는 것’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