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작물 소득 보전방안 마련이 우선”
道 월동채소 수급안정 대책 설명회…농가들 “어느 정도 소득 나와야”
제주도가 월동채소 과잉생산을 해결하기 위한 작부(作付) 체계 혁신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대체작물에 대한 소득 보전 방안 마련이 우선이라는 농가의 볼멘소리가 나왔다.
심지어 제주도가 읍면별 주산지 설명회를 지역 농가를 배려하지 못한 농번기 낮 시간대에 나서면서 농가 참여 저조는 물론 추가 설명회 개최로 인한 행정력까지 낭비하는 행태를 보여 눈총을 사고 있다.
제주도는 21일 대정읍사무소 회의실에서 ‘월동채소 수급 안정(작부체계 혁신) 대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주요 내용은 월동채소 수급 안정을 위해 2018년까지 파종 시기가 비슷한 일반 밭작물 보리와 메밀, 유채 등 대체작물의 재배 면적을 늘리기 위한 수매가 차액 보전, 가공산업 육성 등이다.
이날 설명회에 참여한 강성모 상모1리장은 “(제주도가 제안하고 있는) 보리를 1500평에서 심어봤는데 30가마 정도 나와 150만원을 손에 쥐었지만 보리를 베고, 건조하는 비용 등으로 80만원이 든다”며 “4000~5000평을 심어야 수익이 날 것으로 보이고 소농은 생산비가 맞지 않아서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신도리 한 주민은 “지난해 양배추 가격이 괜찮아서 올해 벌써 양배추가 과열된 것으로 보인다”며 “농가들은 돈을 벌어야 생활을 하는 데 보리 재배보다 양파 재배가, 무밭 임대료가 소득이 더 나온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주민은 “보리든 메밀이든 어느 정도 소득이 나와야 농가들이 움직인다”며 “법으로 강제하면 모르겠지만 소득이 눈앞에 보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설명회에는 지역 농가의 참여가 다른 설명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도내 마늘 생산 60%를 차지하는 대정 지역이 한 해 마늘 농사를 결정짓는 파종한 마늘에서 싹을 틔우기 위한 밭에 물을 주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제주도가 이달 말까지 6개 읍면에서 의견을 수렴, 이달 중 최종안을 내놓기로 한 농민을 위한 설명회를 행정편의주의적인 태도로 진행, 농가를 배려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양치석 제주특별자치도 농축산식품국장은 “농번기이다 보니 많은 사람이 오지 못한 것 같아 의견을 듣기 위한 설명회를 농번기가 지난 10월 중순쯤 저녁 시간대에 다시 하겠다”며 “이번 대책안은 2016년, 2017년, 2018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며 고령화 시대에 맞춰 권역별 농기계 임대센터 등을 구축해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계화를 도입할 수 있도록 농기계 보급률을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