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글로벌 메카’도전 나선 제주도

2015-09-17     제주매일

제주도가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차의 글로벌 메카’ 도전(挑戰)에 나섰다. 도는 16일 전국 최초로 전기차 육성 중장기 종합계획(2015~2030)을 확정해 발표했다. 앞으로 9대 전략·36개 실천계획을 통해 ‘2030년 탄소 없는 섬 제주’의 비전을 기필코 실현하겠다는 각오다.

이번 중장기 계획은 △단계별·연도별 전기차 보급 로드맵 △충전 인프라 구축 △전기차 이용 활성화 및 연관산업 육성 정책 등을 담고 있다.

우선 전기차 보급의 경우 1단계로 2017년까지 2만9000대, 2단계는 2020년 13만5000대, 마지막 3단계로 2030년 37만7000대를 전기차로 전환키로 했다. 또 충전(充電) 인프라도 2030년까지 도내 전역에 7만50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총 2조549억원의 재정투자계획도 마련했다. 세부 내용을 보면 공공부분이 1조7348억원(국비 1조2381억원·도비 4517억원), 기타 부분에 3201억원이 투입된다. 제주도는 오는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가 달성되면 총 91만t의 이산화탄소(CO2) 및 대기오염 물질 감소와 1조1712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야말로 ‘장밋빛 청사진’인 셈이다.

그러나 이제 시작일 뿐 걸림돌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가장 중요한 재원 확보는 말할 것도 없다. 이보다 더 시급한 과제는 전기차에 대한 도민들의 인식부터 제고(提高)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전기차는 장점에 비해 기술적 한계 등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돼 있는 상태다.

이 같은 인식의 전환 없이는 사업의 타당성을 얻기 힘들 뿐더러 성과 또한 장담할 수가 없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리스사업이 난항을 겪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특히 파급효과가 매우 큰 버스업계가 전기차에 난색을 표하는 원인과 이유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현실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전기차는 중국 등이 10대 핵심 산업으로 선정할 만큼 산업연관 효과가 높은 융복합산업이자 신성장동력이다. 때문에 번지르르한 말의 성찬(盛饌)을 지양하고 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실천전략을 짜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