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아리송한 원희룡 도정의 ‘協治’

2015-09-16     제주매일

원희룡 제주지사가 15일 주간정책회의를 통해 또다시 ‘협치(協治)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주제는 공무원들의 ‘협치 오해’에 관한 것이었다.

원 지사는 “협치라는 것은 정해진 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민간의 경험과 아이디어 및 참여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수평적인 협력(協力)’ 하에 행정의 일하는 방식과 효과를 더 내자는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어 ‘요구하는 예산을 두 말 없이 다 들어줘야 협치다’라는 것. 그리고 어떤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특정 단체들이 우르르 들어와서 하면 이게 협치인 것으로 생각하는 게 ‘대표적인 오해(誤解)’라고 지적했다.

특히 원 지사는 “일선 담당이나 실무선에 가면 ‘도지사는 협치를 하라고, 바깥 단체들에 귀를 기울이라고 했는데’ 해서 아예 그냥 포함하고, 거기서 하는 방식에 대해 도가 수수방관하거나 동조를 하면 협치가 되는 것으로 혼동(混同)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오해가 없도록 실·국장들의 적극적인 지도를 당부하기도 했다.

오죽 답답했으면 도지사가 공무원들의 ‘협치 오해’와 관련 구구절절 지적했을까에 대해선  어느 정도 이해가 간다. 그러나 원 지사의 이런 설명을 공무원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알아들었는지는 의문이다. 그것은 박근혜 대통령이 누누이 강조하는 ‘창조경제’에 대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의문을 표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민선 6기 원희룡 도정이 출범한 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제주도정이 협치란 ‘도그마’에 너무 매몰되지 말고 도민과의 소통(疏通) 강화에 보다 주력하길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