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 크루즈터미널’ 왜 미적거리나
서귀포시 강정 해군기지가 ‘민군복합형관광미항’으로 불리는 것은 민항(民港)의 핵심 기능인 크루즈터미널 때문이다. 그러나 군항(軍港)은 행정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지만 배후 친수공간 조성 등을 포함한 크루즈터미널 사업(예산 534억원)은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제주해군기지사업은 지난 2008년 9월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민군복합항’으로 조정됐다.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리고 2012년 6월엔 크루즈항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
또 이듬해인 2013년에는 정부와 제주도간 ‘민군복합항 항만 공동사용 협정서’를 체결했다. 주된 내용은 크루즈선박 관제권 및 항만 시설관리권 등에 대한 제주도의 권리를 명시(明示)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제주자치도는 지난해 10월부터 본격적인 공사를 시작하려 했으나 당시 주민들이 해군 관사(官舍)에 대한 문제를 선조건으로 내세우며 반대해 공사가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무런 걸림돌이 없다. 강정마을이 올해 1~3차(6월~8월) 총회에서 크루즈터미널 사업에 대해 찬반을 논하지 않고, 관여도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모든 걸림돌이 없어졌지만 제주도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그동안 늘어나는 크루즈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라도 강정 터미널 사업이 시급히 필요하다는 주장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아직도 주민들의 눈치를 보고 있다면 그것은 정공법(正攻法)을 중시하는 ‘원희룡 도정’의 이미지에도 걸맞지 않다.
제주도가 뜸을 들이며 미적거리다 보니 여러 말이 나온다. 혹시 제주신항 계획과 맞물리는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疑懼心)도 그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