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제주 친환경 농업

인증면적 전체 4% 불과…전국 평균도 못미쳐

2015-08-23     진기철 기자

농산물 시장개방에 맞서 ‘청정 제주’의 가장 경쟁력 있는 미래산업으로 친환경 농업이 제시되고 있지만, 정작 현실은 동떨어져 있어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2015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농가는 1195곳으로 인증면적은 2602㏊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유기농은 253곳·1417ha, 무농약 837곳·1105ha, 저농약 105곳·79ha 등이다.

그런데 도내 전체 경지면적 6만 2855ha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4.1%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는 전국 평균 면적비중인 5.9%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가장 높은 전남(13.4%)의 3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제주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인증관리 강화 등으로 인해 비약적으로 증가해온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이 2009년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웰빙 트렌드 확산에 발맞춰 안정적인 공급 및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긴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제주도가 2012년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2013~2017년)을 수립,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을 포함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비율을 2014년 15%, 2017년 2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실현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농경연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에 대응해 친환경 과실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직불제 개선과 생산자 보험 도입, 유기농과수 재배 매뉴얼 작성·보급 등의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유기와 무농약 농산물 시장규모 확대에 대응해, 학교급식 확대·가공식품 생산 등의 수요창출과 유통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