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고 국립해사고 전환 추진

도교육청 해수부에 용역보고서 전달

2015-08-12     문정임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2019년부터 성산고의 국립 해사고 전환을 요구하는 교육감 결의문과 용역 보고서를 해양수산부에 전달했다.

레저 등 해양관광 위주의 인력 양성으로 인천, 부산 해사고와 차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12일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국해양수산연구원이 진행한 '해사인력 육성에 따른 국립 해사고 설립 검토 연구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용역 팀은 향후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양관광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출 경우 제주 성산고의 국립 해사고 전환이 타당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제2차 해양관광진흥계획(2014~2023)'과 제주도의 '제주도 관광개발계획(2014~2021)' 등에서 해양 레저 및 해양 관광의 성장이 예측되지만 기존 해사고 2곳은 기관·항해 등 승선 인력만 양성하고 있어 관련 인력이 부족한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시한 '제주해양 6대산업'에 과거 어업분야의 산업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제주도 자체적으로도 관련 산업 분야 인력 양성에 중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특히 해사고 신규 설립 비용이 1000억원인 반면, 기존 학교를 전환할 경우 예산이 130여억원으로 축소돼 효율적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에따라 용역팀은 신설 국립 해사고에 ▲해양레저과(30명) ▲해양레저장비과(60명) ▲해양관광·크루즈과(60명)를 설치하는 안을 제시했다. 적절한 한해 인력 배출 규모는 150여명이며 실습기자재 구입 등 초기 소요액은 60억원, 교사 인건비와 학생 복지비 등을 포함한 연간 운영비는 70억원 내외로 예상했다.

도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최종 용역안과 이석문 교육감의 결의문, 주민 1810명의 서명부를 지난 11일 해양수산부에 제출했다.

이석문 교육감은 결의문에서 "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근본 토대를 튼튼히 만드는 데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며 성산고를 국립 해사고로 전환해 줄 것을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