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시동 건 ‘감귤혁신 5개년 계획’

2015-08-04     제주매일

제주자치도가 3일 ‘감귤혁신 5개년 세부실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앞으로 5년간 국비와 도비 등 6098억원을 투입해 4개분야 8대 핵심과제, 73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이 주목을 받는 것은 ‘단발성(單發性)’이 아니라는데 있다. 도는 오는 2035년까지 4회에 걸쳐 5년마다 구조조정을 하는 등 지속적으로 장기비전을 마련할 방침이다. 위기에 처한 감귤산업의 자생력(自生力) 확보와 명품감귤 생산, 유통 고도화 등을 통해 이른바 ‘제주감귤, 새로운 성장 50년’을 달성하겠다는 것이 그 목표다.

야심찬 계획에도 불구하고 넘어야 할 산은 아직도 많다. 우선 농·감협을 중심으로 계통출하 점유율을 현재 48%에서 7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보자. 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통해 고품질 출하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당도(브릭스) 기준 등 세부적인 사항은 제시되지 않았다.

큰 반발이 일었던 가공용 감귤 수매가격 지원 제도는 5년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보전금 예산을 상품 계획 출하장려금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상품계통출하와 비례해 농가별 가공용 감귤 출하량을 배정하는 출하할당제도는 여전히 논란이 예상된다.

감귤산업이 위기(危機)에 처해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고품질 감귤 및 적정생산이 필수임은 누구나 공감한다. 그런 한편으로 제주의 노지 온주밀감 특성상 당도 10브릭스 이상의 고품질 감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과연 가능하느냐는 등의 문제 제기도 벌써부터 나온다.

‘완벽한 계획’이란 있을 수 없기에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이 뒤따라야 한다. 정책과 관련 농가를 적극적으로 설득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감귤혁신은 민·관이 합심해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때 성공을 보장받
을 수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