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대 ‘악재’로 전전긍긍
지난해 국정감사 불출석 감사원 감사 받는 한라대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비리 감점 적용될까‘촉각’
제주한라대학교 속이 시끄럽게 됐다.
지난해 국정감사 불출석으로 더 큰 감사를 받게 된 데다, 대학 재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비리 발생 대학 감점 조치'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다음달 등급 발표에 긴장을 놓지 못 하고 있다.
2일 교육당국에 따르면, 교육부는 다음달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발표를 앞두고 최근 부정·비리 발생 대학을 감점·강등하는 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구조개혁위원회(위원장 백성기)는 상지대 등 사학 비리가 전국적인 이슈로 부각되자 부정·비리에 대해 '적발 시점'을 기준으로 페널티를 적용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학구조개혁평가 등급에 따라 입학생 정원 감축 폭과 재정 지원 규모, 장학금 대출 제한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선 대학 입장에서는 내달말 결과에 초미의 관심이 모아질 수 밖에 없다.
특히 검토 대상이 비리 발생이 아닌 적발 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잇단 비리 의혹과 조사로 설왕설래되는 제주한라대의 결과는 긍정적으로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제주한라대가 이번에는 감사원의 감사를 받게 됐다.
최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박주선 새정치민주연합)가 제출한 한라학원 감사원 감사요구안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지방 사립 전문대학이 국회의 요구로 감사원 감사를 받게 된 이례적인 사태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난해 한라학원 이사장의 국정감사 불출석에 대한 '괘씸죄'가 적용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당시 한라학원 이사장이 거동불편을 이유로 국정감사 증인 출석 요구에 불참했지만 이후 스스로 관용차에 올라타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국회의원들의 분노를 샀다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듯 이번 한라학원 감사원 감사요구안은 재석의원 217명 중 206명의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됐다.
복수의 제주한라대 관계자들은 "감사원 감사를 앞두고 학교 법인 측이 자료 정비 등 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안다"며 "이래저래 편안한 상황은 아니"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