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속도 하향 사업 확대해야”
제주도 교통안전 대토론회
회전교차로 설치 등 제시
교통문화 수준 향상 시급
제주지역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요 도로별 제한 속도 하향 사업 확대와 교통문화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 같은 의견은 국토교통부와 제주도, 제주지방경찰청이 주최하고 교통안전공단·도로교통공단 주관으로 30일 오후 2시 제주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주도 교통안전 대토론회에서 나왔다.
이날 토론회에서 장경욱 교통안전공단 선임연구원은 ‘제주도 교통사고 감소 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대책을 제시했다.
장 선임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제주의 교통사고는 연평균 5.5% 증가했다”며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은 과속과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 등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용과 비사업용 차량의 연평균 교통사고 건수는 각각 6.5%, 4.4% 증가했다”며 “렌터카에 의한 교통사고가 많이 늘어나면서 교통안전 수준을 렌터카가 결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 선임연구원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한 속도 하향 사업을 확대 추진해야 한다”며 “성산읍사무소 앞과 연대마을 버스정류소 서쪽 100m 등 23곳이 우선 추진 지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2012년 회천교차로를 설치한 지점의 사고와 사상자가 각각 39%, 45% 감소했다”며 교차로의 속도를 낮추기 위해 회전교차로도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20대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대학생에 대한 교통안전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교통사고 없는 마을을 인증해 포상하며 주민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도 있다”고 제안했다.
손상훈 제주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통문화 수준 향상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손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제주의 교통문화지수는 75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4위를 기록했다”며 “최근 3년간 안전띠 착용률도 제주시 54%, 서귀포시 5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사거리에 교통문화 지표탑을 설치하는 등 개선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교통법규 위반 행위에 대한 단속도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진행된 지정 토론에서 진기철 제주매일 사회부장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며 “운전면허 취득 요건과 면허 갱신 시 교육을 의무화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