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항 주민들 찬성 우세”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신항 개발 구상안 여론조사 결과’ 발표
찬성 43% - 반대 36%…구상안 안다 54% - 모른다 46%
참여연대 “절반 가까이 모른다는 것···道 졸속 계획 증명
제주도가 추진 중인 제주신항 개발 구상안에 대해 원도심 지역 주민과 상인들을 상대로 찬반 여부를 물은 결과 찬성 의견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1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주신항 개발 구상안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원도심 지역 주민과 자영업자 등 302명을 대상으로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6%포인트다.
조사 결과 제주신항 개발 구상안에 대해 42.7%가 ‘찬성’, 36.1%가 ‘반대’로 나타냈다. ‘모른다’는 응답도 21.2%에 달했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대형 크루즈선 입항으로 원도심을 활성화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7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주도가 추진하는 일이기 때문’(17.1%), ‘여객 선석이 더 필요하기 때문’(3.1%), ‘물류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2.3%) 등의 순이었다.
반대하는 이유로는 ‘대규모 항만 개발에 따른 환경이 파괴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9.1%로 가장 많았다.
‘대규모 상가 시설 등으로 인한 원도심 상권 침해 때문’(24.1%), ‘현재의 항만 시설로도 충분하기 때문’(13.9%), ‘도민사회 공감대가 우선 필요하기 때문’(10.2%)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제주신항 구상안에 대해 4%는 ‘잘 알고 있다’, 49.7%는 ‘아는 편이다’, 31.1%는 ‘모르는 편이다’, 15.2%는 ‘전혀 모른다’라고 답하는 등 안다는 응답은 53.7%, 모른다는 응답은 46.3%로 조사됐다.
제주신항 구상안에 계획된 대규모 상가 등 상업시설 계획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44.7%로 긍정적인 의견 42.7% 보다 많았다.
특히 공론화 과정에 대한 질문에는 74.2%가 ‘사전 공론화가 필요하다’, 14.9%는 ‘제주도가 정책 결정을 하면 된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20여 년 전 실시된 탑동 매립 개발에 대해서는 ‘제주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이었다’는 응답이 38.1%였다.
반면 매립으로 인해 ‘환경파괴 발생’(23.5%), ‘개발 이익이 지역사회 환원으로 이어지지 못함’(17.9%), ‘월파로 인한 피해 등 사회적 비용 발생(8.6%)’ 등 부정적 의견이 50%로 나타났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지역 주민 절반 가까이가 신항에 대해서 모르고 있다는 것은 제주도의 신항 구상안이 얼마나 조급하게 추진됐고, 공론화도 거치지 않은 졸속 계획임을 말해주고 있다”며 “향후 구체적인 계획을 도민사회에 공개해야 하며, 그 후에 도민 공론화를 거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어 “개발 이익의 지역사회 환원 방안 마련은 물론 개발로 인한 이익을 소수가 독점하는 폐해에 대한 해결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며 “원희룡 지사는 재임하는 동안 항만 만큼은 책임지고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여론조사 결과로 나타난 민심을 잘 헤아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