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산업 구조혁신이 꼭 필요한 이유
2014년산 제주감귤 조수입은 69만6763t을 처리해 6707억3900만원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6684억원)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전년(2013년) 9014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25% 이상 떨어진 것이다.
최근 5년(2009~2013)간 평균(처리량 65만9809t·조수입 7473억원)과 견주어도 처리량은 6% 늘었지만 조수입(粗收入·필요한 경비를 빼지 않은 수입)은 10% 가량 줄었다. 품목별로도 만감류만 유일하게 14% 늘었을 뿐, 노지온주(21%)와 하우스온주(16%) 및 월동온주(0.2%) 모두 감소했다.
이 같은 조수입 감소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우선 잦은 비 날씨로 노지감귤 상품 출하가 줄어든데 반해 가공용 감귤이 크게 증가했다. ‘세월호 참사(慘事)’와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심리 및 소비 위축도 걸림돌이 됐다. 여기에 국내외 다른 과일과의 경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감귤가격이 떨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계속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품질 좋은 수입과일 및 국내 과일과의 경쟁이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은 불 보듯이 뻔하다. 이에 대응해 경쟁력(競爭力)을 갖추려면 적정 생산과 고품질 감귤생산 말고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 고강도의 ‘감귤산업 구조혁신’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제주자치도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려던 ‘고품질감귤 안정 생산 5개년 계획’이 농가들의 호응을 얻지 못한 것은 ‘소통(疏通) 부족’ 탓이었다. 예컨대 가공용 감귤을 생산하려고 농사를 짓는 사람은 없다. 수매가 보전 지원 폐지만 하더라도 그에 따른 논리와 당위성을 갖고 농가들을 설득해야 했다.
감귤산업 구조혁신이 성공하려면 공무원들의 자세부터 바뀌어야 한다. 계획을 먼저 발표하고 뒤늦게 의견 수렴에 나섰음에도 ‘의견 수렴이 적절했다’고 응답(최근 도의회 여론조사)한 것도 바로 공무원 그룹이었다. 이런 인식이 변하지 않는 한 감귤 구조혁신은 또다시 벽에 부딪칠 공산이 크다. 난제를
풀어가는 최선의 방책은 성심(誠心)과 성의(誠意)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