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감귤 구조개혁 필요하다” 62%

2015-07-05     제주매일

 제주자치도의 ‘고품질 감귤 구조개혁’에 대해 응답자의 62.3%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제주매일이 창간 16주년을 맞아 도민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이번 설문에선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지원 폐지 등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62.3%가 지지를 나타냈다. 지방공무원의 지지율이 84.2%로 가장 높았고 교육공무원과 대학교수도 6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에 시민단체와 문화?예술?체육인은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같았고, 도의원은 40.0%가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제주도가 추진하려는 감귤산업 구조혁신은 ‘선(先) 자구노력 후(後) 지원’이 골자다. 고품질 안정생산과 수급조절, 과학적 통계시스템 구축 및 감귤가격 산지주도 등 3개 분야 8개 주요 핵심과제도 마련됐다.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로 어려움에 직면한 감귤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뚫으려는 고육책이다.

 그러나 시행도 하기 전에 구조혁신 작업은 벽(壁)에 부딪쳤다. 특히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지원 전격 폐지는 농가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지난해의 경우 가공용을 통해 15만6000t이 처리됐는데 앞으로 이를 어떻게 할 것인지 아무런 설명이 없었기 때문이다.
 

 제주신항(新港)과 마찬가지로 감귤 구조개혁도 계획을 먼저 발표하고 나중에야 의견을 수렴하는 수순을 밟았다. 반발이 일자 허겁지겁 ‘찾아가는 설명회’를 열고 있지만 이미 빛이 바랬다. 소통부재(疏通不在)가 낳은 탁상행정의 결과라 아니할 수 없다.

 지난 수십년간 ‘정치(政治)작물’로 자리매김한 감귤산업의 구조혁신 필요성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도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이점 제주자치도가 향후의 정책 추진에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