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청정제주’ 끝까지 최선 다해야
141번 메르스 환자가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한 가운데 이와 관련된 179명이 6월 30일까지 모니터링 대상에서 전원 해제됐다. 141번 환자는 가족 및 일행을 동반해 제주여행을 다녀간 후 메르스 확진(確診) 판정을 받아 제주지역사회를 바짝 긴장시켰었다.
이와 함께 제주도 메르스 관리대책본부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모니터링 대상자 추가 통보는 없었고, 현재 도내 거주 모니터링 대상자는 6명(자가격리 1, 능동감시 5)이라고 밝혔다. 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오후 6시 현재 의심신고자 2명이 추가(누적인원 95명) 됐고,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로써 제주지역은 6월말 현재 확진자나 양성 판정자가 발생하지 않아 ‘메르스 청정지역’을 유지했다.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지만 이 같은 결과 뒤엔 메르스 대책본부 등 제주자치도의 노력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책본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정부의 매뉴얼보다 잠복기(潛伏期) 등의 기간을 더 늘려 잡았다. 메르스 관련 상황이나 정보를 하루 2번씩 브리핑해 도민들의 신뢰도 얻었다.
하루에도 수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공항과 항만에 발열감시 카메라를 충분하게 설치하는 등 메르스 차단에 전력(全力)을 기울였다. 또한 자가격리자에 대한 심리지원을 포함 긴급 생계비 및 생필품 지원에도 만전을 기해 불편을 최소화했다.
그러나 한 치도 방심(放心)해선 안 된다. 메르스 방어둑이 뚫리면 그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게 뻔하다. 메르스 사태가 종식(終熄)되는 마지막 순간까지 정신을 바짝 차리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제주자치도가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부분은 또 있다. 지금 제주는 관광업계를 중심으로 전 부문이 메르스로 인해 직격탄(直擊彈)을 맞고 있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때보다도 피해가 훨씬 크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를 조금이라도 만회하기 위해선 ‘메르스 종식’ 후의 종합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특히 관광의 경우 심리적 위축감이 상당기간 계속되는 점을 감안해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야 할 것이다. 도정(道
政)의 대처 능력에 따라 지역경제의 운명 또한 달려 있음을 제주자치도는 깊이 인식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