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재생·학교활성화 함께 가야”

도의회 제주교육발전연구회 관련 정책토론회서 제기

2015-06-14     박미예 기자

제주지역 원도심 학교 살리기 운동과 원도심 재생 사업이 함께 추진될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주교육발전연구회(회장 김광수)는 지난 12일 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원도심 지역의 학교 교육환경 개선 및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강봉수 제주대학교 교수는 “도정은 원도심 재생에 더 관심을 두고, 교육청은 원도심 학교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농어촌 작은 학교 살리기를 더 시급한 과제로 여긴다”며 “그러나 원도심 지역 주민과 학부모들에게는 원도심 재생도, 지역학교 활성화도 모두 중요하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행정이든 교육이든 원도심 재생과 함께 학교 활성화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며 “학령기 자녀를 둔 시민이 살고 싶은 동네가 되려면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원도심 학교 활성화 방안으로 ▲과도한 경쟁 중심 교육시스템의 완화 전제 ▲교실 수업 혁신을 통한 학교 활성화 ▲아이, 학부모,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평생교육의 장 조성 ▲관련 단체 및 기관, 학부모, 지역주민 등을 망라한 원도심 재생·학교 활성화 지역 거버넌스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 시간 정이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기획과장은 “행정과 교육이 이원화되다보니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에 학교 활성화 계획이 빠지는 문제가 발생했다”며 “도청과 도교육청은 지금이라도 원도심 재생 사업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진 제주특별자치도 국제자유도시계획과장은 “원도심 학교 활성화는 원도심 재생 사업의 성공 열쇠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도교육청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관련 사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어떻게 하면 자녀를 둔 젊은 학부모들을 원도심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까를 고민하면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관련 사업 용역은 11월에 끝나기 때문에 학부모, 지역주민 등이 오는 8월까지 좋은 의견을 제시해주면 가급적 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