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헬기 도입 사업 도의회 재심의

年 24억 지방비 부담 해결이 문제 ‘논란 전망’

2015-06-11     박민호 기자

절차상 문제와 과도한 지방비 부담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서 심사·보류됐던 다목적 헬기 도입 사업이 재논의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입 이후 연간 수십억 원에 이르는 지방비 투입 문제 해결 없이는 헬기 도입이 어려워 논란이 예상된다.

1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다음 주 공유재산심의위원회를 열어 다목적헬기 도입문제에 대한 심의를 진행한다.

제주도는 산불 진화와 응급환자 이송 등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목적 헬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시를 제외 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소방헬기가 없는 제주의 경우 경찰청과 해경 소속 헬기를 이용, 응급환자 이송(연평균 59회)에 사용하고 있고, 산불 등 대형화재에 대비해 전남 영암군 소재 산림항공관리소에서 출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헬기의 경우 각 기관의 운영 목적에 따라 만들기 때문에 해안 경비 위주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찰·해경 헬기는 소방본부에서 요구하는 인명구조와 화재진압, 응급환자 이송 등에 한계가 있다는 소방당국의 주장이다.

하지만 도입에 따른 건축비(격납고 등) 부담과 헬기 운용 인력 확충 문제, 연간 수십억원(유지·관리비)의 지방비 부담 등의 이유로 헬기 도입에 부정적인 여론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달 제330회 임시회에 ‘2015년도 공유재산관리계획 변경안(다목적 소방헬기 취득)’을 제출했지만, 공유재산 의회 의결 전 본예산(90억원)을 확보하는 등의 절차상 하자와 헬기 도입 이후 연간 24억원에 이르는 지방비 부담 등의 이유로 심사·보류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