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제주 땅값
올해 12%대 상승률…전년대비 2~3배 올라
주택가 상승·부동산 투기 지역 변질 등 우려
도내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관광객과 이주민 증가에 따른 주택 등 부동산 개발과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지사 상승이 가속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올해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지난 29일 결정·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제주시 지가는 전년대비 평균 12.4% 올랐다. 전년 상승률(4.3%)에 비해 세 배 가까운 수치다. 이번에 산정한 30만9689필지 가운데 94.1%(29만1329필지)가 땅값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귀포시 지가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올해 땅값 상승률은 전년(5.8%)보다 두 배 이상 높은 12.3%를 기록했다.
국내외 관광객 급증과 인구 유입으로 인한 숙박시설 및 주택 수요 증가와 영어교육도시 및 혁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하면서 토지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녹지지역과 주거지역 땅값 상승세가 두드러져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올해 서귀포시 용도지역별 지가 변동률을 보면 관리지역(13.2%), 녹지지역(13%), 주거지역(12.4%)이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제주시는 녹지지역(14.7%), 농림지역(14.4%), 관리지역(13.9%), 주거지역(10.9%) 등의 순으로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제주시 지역별 지가 변동률을 보면 우도면 땅값은 지난해에 비해 무려 33.3%나 상승했다. 노형동(20.6%), 아라동(17.6%), 해안동(16.7%), 애월읍(15.5%), 한경면(14.2%) 등의 지가도 급등했다. 아직 개발이 덜 된 읍·면 지역과 동 외곽지역으로 부동산 투자가 집중돼 토지 실거래가격을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관광객과 이주민 증가세와 ‘제주 부동산 가치 저평가’ 등을 들어 지가 오름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그러나 땅값 급증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게 나오고 있다. 공시지가 상승은 각종 세금 부담 가중으로 이어져 소비 감소 등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소지가 있다. 또 땅값이 상승하면 주택가격도 덩달아 올라 서민들의 주거안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급격한 땅값 오름세가 지속될 경우 제주 전역이 부동산투기 지역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어 이를 막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