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계층구조개편 도=강행 여당=반대
金 지사 정당 방문서 거듭 입장차
행정계층구조개편을 둘러싸고 제주도정과 도내 정치권 사이에 이상기류가 형성됐다.
김 태환 도지사는 '일정대로 주민투표 강행'이라는 수순을 재확인 한 반면 열린 우리당을 중심으로 도내 정치권은 좁은 운신의 폭을 절감하면서 '반발 수위'를 놓고 고민중이다.
제주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최종 여론조사결과는 김 도정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인지도 74.4%, 혁신안 55.5%. 점진안 39.5%의 선호도 격차 16%는 김 도정의 행보를 거칠 것이 없도록 했고 이에 앞선 제주도를 홍콩이나 싱가포르와 같은 '국제자유도시'로 육성한다는 정부의 '제주특별자치도 기본구상안'은 든든한 후원자 구실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행정계층구조개편 작업에 따른 정가 설득을 위해 김 지사는 자신이 소속한 한나라당에 이어 4일 오전 11시 민주노동당과 오후 2시 열린 우리당 제주도당을 찾았다.
지난달 하순, 당내 토론회를 시작으로 반대 목소리를 내던 열린 우리당은 이날 김 지사의 방문 자리에서 제주도를 비난했다.
도의 계층구조개편 제기로 도민 사회 분열을 비롯해 혁신안이 선택될 경우 도지사권한의 지나친 비대, 도민 참정권 제한 등이 반발의 주된 내용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지사는 '주민투표 강행'을 재확인했고 열린 우리당은 내부적으로 '반대 운동'에 나설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반면 열린 우리당도 행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
강창일 도당 위원장은 이날 "특별자치도와 행정계층구조는 전혀 무관한 사항임에도 제주도가 의도적으로 전제조건인 것처럼 진행시켰다"고 지적했다.
이는 열린 우리당이 적극적으로 반대에 나서면 '특별자치도 자체를 거부하는 듯한 인상을 도민에게 심어줄 우려'를 의식한 것으로 여당의 옹색한 처지가 표출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반대하다가 '혁신안이 선택'될 경우의 '정치적 부담' 등도 감안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고민 또한 깊어지고 있다.
내부적으로 반대 여론이 높지만 같은 당끼리 공세를 펼 수 없는 한나라당, 청와대와 교감 및 여론조사에서 '혁신안 선호도'가 예상보다 높은 탓에 무작정 '반대'하기 어려운 열린 우리당을 앞에 둔 제주도정에 무게 중심추가 기울었다 것이 도내 정가의 판단이다.